경기도가 내년 1월부터 데이터 주민 배당을 실시한다. 경기도는 지역화폐 사용 데이터의 첫 판매 예상 금액이 5천만원 정도 수준이겠지만 ‘데이터 주권 실현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자평했다.
경기도는 지난 5일 한국기업데이터, 지역화폐데이터, 경기신용보증데이터 등 플랫폼 참여기관 대표 등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된 ‘제2차 경기도지역경제 빅데이터 플랫폼 협의회’에서 내년 1월부터 데이터배당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데이터 배당 시스템은 주민이 사용한 지역화폐 데이터를 플랫폼을 통해 비식별 정보로 가공 분석한 뒤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연구소, 학교, 기업 등에 돈을 받고 판 뒤, 발생한 수익금의 일부는 지역 화폐시스템을 통해 지역화폐를 직접 사용한 도민들에게 배당하는 제도다.
경기도는 △거래 일자 △성별코드(여자:F/남자:M) △연령(30대/40대/50대) △상품 ID(수원 페이/부천 페이) △주간결제액 △가맹점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만큼 경제효과 분석 등을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비식별 정보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생년월일이나 휴대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 정보는 철저하게 배제된다고 설명했다.
임문영 미래성장정책관은 “데이터 활용을 통해 발생한 수익금을 지역화폐시스템을 통해 지역화폐 사용자들에게 지역화폐로 배당하는 시스템으로, 개인의 데이터 생성 기여분에 대한 보상체계를 마련하는 첫 시험대가 될 것이며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기여자에게 수익을 환원하는 대표적인 모범사례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