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만 2살 이하 아이들이 선생님과 놀이를 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정부가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40% 확대를 목표로 정하고 보육에 대한 국가 책임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도 내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이 6.4%로 서울에 견줘 4분의 1 수준으로 미미한 데다 지역별 편차도 커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경기도가 공개한 ‘2018년 경기도 보육통계’를 보면, 지난해 경기도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은 6.4%로 서울의 24.7%, 인천의 9.4%에 견줘 낮았다. 경기도 내 시·군별로도 지역 편차가 심했다.
시군별로는 연천(20.0%), 양평(18.2%), 과천(16.7%), 포천(15.5%), 오산(14.2%)로 국공립어린이집 비중이 높지만, 여주(1.4%), 의정부(2.9%), 용인(3.3%), 파주(3.6%), 광주(3.8%) 등은 매우 낮았다.
경기도 보육정책과 관계자는 “서울시는 2013~2014년부터 자체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위한 지원에 나서면서 많이 늘어난 반면 경기도는 지난해 지방선거가 치러진 이후에야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나서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다”고 했다. 또 “시군이 국공립어린이집을 적극 신청해야 이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시군의 관심이 미미하다”고 했다.
올해 경기도 내 어린이집은 모두 1만1291곳이며 이 가운데 국공립어린이집은 906곳이다.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국비 50%와 도비 25%, 시·군비 25%의 사업비가 지원돼 어린이집 신축과 리모델링 등에 쓰인다.
한편 지난해 도내 만0∼5살 영유아는 67만7880명이고 도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은 58만2794명으로 보육시설 이용률은 86.0%로 나타났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