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을 씻을 때 비누를 쓰는 것이 세균 제거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3월부터 지난달 23일까지 시중에 유통 중인 손 위생용품의 종류별 세균 제거 효과를 비교 조사해보니 고체·액체 비누>손 소독제>접객업소용 물티슈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세계보건기구(WHO) 손 위생 지침을 토대로 고체비누, 액체비누, 손소독제, 접객업소용 물티슈 등을 사용했을 때와 흐르는 물만을 사용해 손을 씻었을 때의 세균 평균감소율을 측정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세균, 평균감소율은 고체비누와 액체비누가 각각 96%였고 손 소독제 95%, 접객업소용 물티슈 91%, 흐르는 물 30초 91%, 흐르는 물 15초 87% 등의 순서를 보였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손을 씻을 때 비누나 손 소독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것이 좋으며, 손 위생용품이 없으면 흐르는 물이나 물티슈로 30초 이상 손을 닦을 것을 당부했다.
대부분의 감염성 질환은 세균에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접촉할 때 감염되며 올바른 손 씻기를 시행할 경우 70%가량의 감염병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