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구를 없애고 광역 행정동 체제로 전환했던 경기 부천시가 7년여 만에 과거 행정체계로 되돌아갔다.
행정안전부는 부천시가 지난해 12월 요청한 일반구 3개 설치를 승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과거처럼 원미구, 소사구, 오정구를 두고, 36개 행정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인구 50만 이상 시의 경우 행안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일반구를 설치할 수 있다.
기존 일반구 3개 행정체계였던 부천시는 지난 2016년 구청을 없애고 10개 책임동, 26개 일반동 체제의 ‘대동제(大洞制)’를 시행하다가 2019년 10개 광역동 체제로 통폐합 운영했다. 그러나 광역동 하나가 담당하는 지역이 넓어져 주민의 행정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민원 처리 기간도 늘어 오히려 불편하다는 주민 불만이 제기됐다. 또 지역사회보장협의체·주민자치회 등 동 단위 주민단체가 축소됨에 따라 민·관 소통이 약화했다는 평가까지 더해졌다.
부천시는 결국 시민 의견 수렴과 시의회 의결 뒤 지난해 12월 경기도를 거쳐 행안부에 3개 구 설치 승인을 요청했다. 행안부는 일반구 전환에 따른 인건비와 건설비 절감을 최소화하도록 조처했다. 별도 인력 충원 없이 4급 직위를 22개에서 13개로 축소하고, 5급으로 전환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한편, 기존 청사를 재활용해 건설비용도 줄이도록 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