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9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목동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 서울 목동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 지역 내 주요 재건축 예정지로 꼽혀온 서울 목동 아파트 단지의 재건축 밑그림이 나왔다. 실제 재건축은 올해 말 정부가 내놓을 안전진단 규제 완화의 폭에 달렸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서울시는 9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목동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 이 결정안은 재건축 청사진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 청사진에 따라 재건축 조합들은 구체적인 재건축 방식을 정하게 된다.
결정안을 보면, 재건축 뒤 목동 지구(436만8463㎡·132만1460평)에는 최고 35층 아파트가 들어선다. 수용 가구는 모두 5만3천여가구다. 현재 목동아파트 1~14단지가 총 2만6629가구인 점을 염두에 두면 재건축 뒤에는 거주 가구가 두 배로 느는 셈이다.
용적률은 300%(평균 130%대)까지 허용했다. 보행자가 다니는 가로변은 중·저층을, 내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단계별 높이 계획도 결정안에 담았다. 역세권 연접 단지는 상업·업무·주거 복합기능을 도입하고, 인근 지하철역 출입구는 단지 안에 만든다. 이외에 시가지 가로와 신설 단지를 잇는 공공 보행통로 구축, 보행통로를 중심으로 한 개방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등도 결정안에 반영됐다. 학교, 공원, 도서관 등 공공시설도 배치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주변 시가지와 조화되는 통합적 공간 구조를 마련했다”며 “단지와 가로를 막던 완충 녹지가 경관 녹지로 바뀌고, 안양천 연계를 고려한 보행 친화적 녹지 축이 조성돼, 일대가 서남권역의 녹지 생태 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했다.
목동 지구는 1980년대 조성된 터라 그간 시설 노후화와 주차난 등으로 집 소유자들의 재건축 요구가 컸다. 서울시는 6년여 전인 2016년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작업에 들어가며 재건축 추진에 시동을 걸었다. 2019년에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확보를 조건으로 목동아파트 일부 단지의 용도 변경 조처(종상향)도 내렸다.
전문가들은 이번 결정으로 목동 재건축이 한 발 내디딘 건 사실이지만 갈 길은 멀다고 본다. 실제 목동 재건축 사업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지을 핵심 변수는 정부가 오는 연말께 발표할 예정인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 방안이라는 것이다.
백준 제이앤케이(J&K) 도시정비 대표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서울시의 목동 재건축 밑그림이 나온 상황에서 정부의 안전진단 규제 완화까지 단행된다면 목동이 최대의 수혜지역이 될 것”이라며 “다만 규모가 커서 단계적 이주 대책이 필요하고 조합원들의 이해관계 조정 등 난제도 많아 실제 재건축 첫삽을 뜨기까지 몇년이나 더 걸릴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했다. 현재 목동 아파트 단지 중 안전진단 최종 관문을 통과한 단지는 6단지 한 곳에 불과하고 13곳은 정밀안전진단을 앞두고 있거나 탈락한 상태다.
한편 서울시는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역 인근인 ‘자양지구 지구단위계획 및 자양11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안’도 이날 수정 가결했다.
손지민 최종훈 기자
sj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