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런’ 수강생 박혜성(가명) 학생이 지난해 강의를 들으며 작성한 노트.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선보인 취약계층 교육플랫폼 ‘서울런’에 참여하는 사교육업체 가운데 한곳이 올해 서비스를 중단하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수강생들이 애꿎은 피해를 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누리집을 통해 ‘지난해 서울런 참여업체였던 이투스가 (이달 25일부터 시작되는) 올해 서비스에서 빠진다’고 공지했다.
이에 올해 고3이 되는 ㅈ군(서울 중구)은 “지난 12월쯤 이투스의 사회·문학분야 등 교재 10권을 샀는데 잠깐 수업을 듣다가 무용지물이 됐다”며 “어머니가 월급 160만원을 받아 생계를 꾸리시는데, 교재비로 큰돈을 낭비하게 돼 속상하다”고 말했다. 별다른 공지가 없어 당연히 올해도 동영상강의가 진행될 것으로 알고 교재 구입 등 준비를 마쳤다가 돈만 낭비하게 됐다는 얘기다.
이에 서울시는 “예산이 확정된 뒤 위탁운영사가 사교육업체들과 계약을 맺기 때문에 공지가 늦을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는 내년에도 예산을 확정한 뒤 위탁운영사가 업체들과 계약 여부를 논의한다면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서울시 교육플랫폼추진반은 “학생들이 받는 서비스 연속성을 위해 최대한 선택권 보장 측면에서 노력하겠다”며 “교재비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많아 현재는 2만원 상당 교재 쿠폰(교재 한권 값)을 한장 지급하고 있지만, 앞으로 사회공헌분야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보도 뒤 “이미 교재를 구매한 학생의 경우 교재 회수 없이 전액 환불 조치하기로 이투스와 협의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오세훈표 서울런’ 6개월이면 서울대 합격?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