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의 한 어린이집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서울 관악구에 사는 ㄴ씨는 두 살 된 딸을 집 앞 구립어린이집에 보내려 했지만 “대기자가 많다”는 답변을 들었다. 인근 민간어린이집에 연락했더니 정반대의 답이 돌아왔다. 하지만 선뜻 결정하지 못한 채 전화를 끊었다. ㄴ씨는 “민간어린이집은 ‘(국·공립어린이집보다)교육·놀이 프로그램이 안 좋은 게 아닐까’라는 생각에 망설임이 앞섰다”고 털어놨다.
서울시는 이런 국·공립 어린이집 쏠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처음 새 보육모델 ‘서울형 공유어린이집’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인근 3∼6개 국공립·민간어린이집이 공동체를 형성해 대기자 현황을 공유하며 입소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올해 3월부터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서울시 8개 자치구에 있는 14개 공동체(58개 어린이집)로 운영했지만, 올해 3월부턴 25개 자치구에 40개 공동체(160개 어린이집)가 운영된다.
박경길 서울시 보육기획팀장은 “2020년에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어린이집 이용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61.1%가 국공립 어린이집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국·공립어린이집은 대기자가 많은데 민간어린이집은 대기자가 없는 현상을 해소해보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는 공동체를 맺은 어린이집들이 교육·놀이 프로그램 관련 의견을 교환하며 공동 추진, 교재·교구·장난감 등도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어린이집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에 참여하면서 차량·물품·교재 공유 및 공동구매로 운영비를 32% 절감한 곳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서울 관악구 한 민간어린이집 교사는 “어린이집 쏠림 현상을 해소한다는 취지에 충분히 공감해 다음엔 신청하고 싶다”면서도 “인근 어린이집과 프로그램을 같이 짜고 소통하는 과정 등이 새로운 업무 부담이 되지 않을지 우려는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보육기획팀은 “새로운 방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업무 매뉴얼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고, 행정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책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