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내년도 예산안의 원만한 처리를 위해 시의회의 ‘공약사업 예산 삭감’ 등 요구를 일부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시의회가 요구하는 ‘코로나19 생존지원금’과 관련해선 5400억원 규모 민생·방역대책 예산을 시의회에 제안했다.
서울시는 24일 ‘내년도 예산안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 관련 서울시 입장문’을 내어 “내년도 살림 계획인 예산안이 연내에 원만히 처리될 수 있도록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전향적인 자세로 시의회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시의회가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서울시 바로 세우기’ 관련 민간위탁·민간보조 사업 예산 증액도 합리적인 범위에서 수용하고, 상임위의 공약사업 삭감도 물량·시기 조정 등을 통해 일부 수용할 의사가 있다”며 “연내에 원만히 의결될 수 있도록 시의회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고, 민생과 방역의 위기 상황에서 재정이 시민 삶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제안한 3조원 규모 ‘코로나19 생존지원금’ 예산 배정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민생을 살리려는 취지를 십분 감안, 모든 가용재원을 총동원하여 기존 편성액 외에 추가로 5400억원 규모의 민생·방역 대책을 마련하였고, 이를 예결위에 제안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간 3조원은 “무리하다”던 견해를 보였는데, 한발 물러선 셈이다.
이와 관련해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적극적인 대화를 요구했던 김호평 예결위원장은 “서울시가 민간위탁·민간보조 사업 예산을 증액하겠다고 말하는 부분은 인건비가 아니라 사업비만 늘려주는 형태여서 사실상 (기존 예산안 대로) 인력을 자르란 것”이라며 “5400억원 규모 예산 제안도 저와 논의하기 전에 발표부터 했다”고 말했다.
시의회 예산결산위원회는 44조원 규모의 내년도 서울시 예산안 심사를 오는 27일까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양쪽의 이견이 여전한 만큼 제때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