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코로나19로 운영난을 겪고 있는 8천여 업소에 각 100만~200만원씩 총 80억여원 규모의 ‘특별휴업지원금'을 지급한다고 9일 밝혔다.
대상은 그동안 정부나 시에서 지원을 받지 못했지만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은 여행업, 화훼농가, 어린이집, 학교급식 공급 농가·업체, 버스·택시 종사자, 농촌체험·치유 교육농장, 길벗 가게, 종교시설 등 10개 업종으로 업소당 100만원씩 지급한다.
또 올해 2월 거리두기 2단계 기간, 4월 고양시 긴급멈춤 방역기간 당시 집합금지 행정명령이 내려졌지만 별도 지원을 받지 못했던 주짓수·킥복싱 체육관, 무도(장)학원도 업소당 200만원씩 지급한다.
고양시는 집합금지·제한 등 시에서 내린 코로나19 행정명령을 성실히 이행한 업소를 대상으로 작년부터 올해까지 3차례에 걸쳐 총 335억원의 특별휴업지원금을 지급한 바 있다. 하지만 영업제한 명령을 받지 않았더라도 개점휴업 상태이거나 매출감소 등 영업제한에 준하는 타격을 입은 업종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지난달부터 한달간 업종별 간담회 등을 열어 현황을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여행업으로, 여행업체들은 집합금지에 준하는 개점휴업 상태가 2년째 계속되며 고사 위기에 처했다. 고양시에서 여행업을 운영하는 ㄱ씨는 “매달 임대료·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내기 위해 2년간 ‘대출 돌려막기'를 하다 보니 빚만 잔뜩 쌓였다”며 “문을 닫으면 그나마 나오던 정부지원금마저 끊기기 때문에 폐업조차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화훼산업 역시 물량의 80%가량을 담당하던 각종 경조사와 행사가 취소되면서 물량을 전량 가까이 폐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밖에 일부 어린이집의 경우 정원의 70%도 채우지 못해 운영난을 겪고 있으며, 버스업체도 승객 감소와 버스 노후화가 겹쳐 경영이 악화한 상태다. 택시도 승객이 줄었을 뿐 아니라 영업시간이 연장됐지만 정부지원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코로나19가 2년 가까이 장기화하며 피해를 겪고 있지만 실질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시민들이 많다. 가장 절실하지만 사각지대에 놓였던 업종을 위한 이번 ‘핀셋 지원정책’이 작은 희망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사각지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원금은 추석 전후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부적인 지급기준과 절차는 고양시 홈페이지 사업공고 이후 업종별 담당부서를 통해 별도로 안내할 예정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