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찾은 충북 음성군 맹동면 박근현씨의 닭 농장. 지난 6일 이곳에서 9㎞ 떨어진 메추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병하면서 이동제한 등 조처로 농가들의 긴장이 커지고 있다. 오윤주 기자
코로나19 감염증 대유행 속에 문명이 민낯을 드러냈다. 인류가 속수무책으로 백신을 기다리는 동안 조류인플루엔자(AI)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에 노출된 가축들은 ‘차단’이란 이름 아래 속속 ‘처분’되고 있다. 처분이란 것은 그저 가축들 끌어모아 묻는 생매장,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올해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은 속도가 심상치 않다. 27일까지 강원, 경남, 제주를 뺀 전국에서 29건이 발생했다. 11월26일 전북 정읍 육용 오리 농장에서 2년8개월 만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된 뒤 불과 한달 만이다. 지금까지 180개 농가에서 닭과 오리 등 942만7천마리가 살처분당했다.
급기야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확산을 막으려 27일 하루 동안(0시~24시) 전국 가금농장과 관련 축산시설의 가축과 종사자, 차량에 대해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내렸다. 지난 12~13일에 이어 두번째다.
지난 19일 찾은 충북 음성군 맹동면의 한 닭 사육 농가. 조류인플루엔자 거점소독소→방제초소→방역초소→이동 방제초소 등 겹겹이 설치된 초소를 지나야 농장에 닿을 수 있다. 그러고도 ‘방역상 출입금지’라는 붉은 푯말과 쇠줄이 막아선다.
닭 18만마리를 사육하는 농장 주변은 눈이 온듯 온통 하얗다. 소독을 하려고 뿌린 생석회 때문이다. 농장주 박근현씨가 눈처럼 희뿌연 생석회를 밟고 통제선 밖으로 나왔다. “요새 축산 농가들은 코로나19 거리두기보다 더 심하게 거리를 둬요. 사람은 마스크라도 쓰지만 닭·오리는 그럴 수 없으니 조심하는 수밖에 없지요.”
지난 7일 이 농장에서 직선거리로 9㎞ 떨어진 메추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했다. 농장에서는 기르던 메추리 72만마리가 모두 매몰 처분됐고, 반경 3㎞ 안 닭·오리 농가 4곳의 가축 26만마리도 살처분당했다.
박씨의 농가를 포함해 반경 10㎞ 안에서 닭·오리 등 380만마리를 기르는 55농가는 숨을 죽이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박씨는 “일제검사 끝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왔지만 이동통제 때문에 출하와 입식(다 자란 닭·오리를 내다 팔고, 새로 키울 병아리를 들이는 것)이 여의치 않다. 닭은 하루 평균 100g씩 살이 쪄 시기를 놓치면 상품성이 떨어진다”며 “조류인플루엔자가 온 데는 온 대로, 안 온 데는 안 온 대로 피가 마른다”고 말했다.
19일 찾은 충북 음성군 맹동면 박근현씨의 닭 농장. 지난 6일 이곳에서 9㎞ 떨어진 메추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병하면서 출입이 제한되고 있다. 오윤주 기자
이번 조류인플루엔자는 2년8개월 만에 다시 찾아왔다. 2017년 11월17일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는 이듬해 3월17일까지 121일 동안 전남·경기 등 5개 시·도 22농가에서 발생했으며, 방역대 안 농장 140곳의 닭·오리 653만9천마리가 매몰 처분됐다.
하지만 농가와 전문가 등은 지금 역대 최악의 조류인플루엔자가 닥쳤던 2016~2017년 상황을 떠올린다. 이때 두 유형(H5N6형, H5N8형)이 ‘트윈데믹’ 형태로 전국을 강타했다. 2016년 11월16일에서 2017년 4월4일 사이 이어진 조류인플루엔자는 전국에서 383건이 발병했으며, 1129농장에서 닭 3179만마리, 오리 332만마리, 메추리 301만마리 등이 땅에 묻혔다. 이때 양계산업이 무너지면서 국외 수입 달걀이 등장하기도 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파의 유력한 ‘용의자’인 야생 조류의 대규모 도래와 ‘역대급’으로 치닫는 국외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탓에 올해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환경부가 내놓은 철새 이동 자료를 보면, 이달 들어 전국에 겨울 철새 196종 157만마리가 도래했다. 지난달 94만4천여마리에 견줘 66.3% 는 것이다. 특히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파 주범으로 꼽히는 청둥오리 등 오리류는 113만3천여마리로 전체 철새의 70.8%를 차지했다.
오리 개체는 나주·영암·정읍 등 오리 농가 9곳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전남·북 지역 철새 도래지인 동림저수지(고창)에 27만여마리, 만경강·동진강 유역에 6만여마리, 순천만에 3만여마리 등으로 눈에 띄게 늘었다. 오정훈 나주시 축산방역과 주무관은 “축산 차량 등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야생 철새를 통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입이 유력한 상황”이라며 “올해 야생 조류가 늘어 조류인플루엔자 걱정이 더욱 크다”고 말했다.
10월 이후 최근까지 전국 곳곳의 철새 도래지 야생 조류에서 30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2016년은 그해 12월8일까지 야생 조류에서 23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검출됐으며, 그해 말까지 조류인플루엔자 244건이 발생했다.
지난 10월 이후 호남지역 계열화 오리 농장을 빼곤 축산 차량 등에 의한 수평 전파보다 산발적 발생이 주를 이루는 것도 철새에 의한 전파를 추정하게 한다. 2016~2017년엔 산란계 농장 등 축산 차량 등에 의한 수평 전파가 극에 달했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올겨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으니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외 사정도 좋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8일 내놓은 국외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관련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유럽은 지난해에 견줘 83배, 중국·대만(타이완)·베트남 등 주변국은 1.5배 이상 조류인플루엔자가 늘었다. 지난 17일 이란·러시아·슬로베니아, 16일 대만·네덜란드, 15일 이스라엘·영국·아일랜드 등에서 발병하는 등 세계적으로 대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농림부와 전국 자치단체는 지난해 96곳이었던 철새 도래지 예찰(미리 살핌) 구역을 103곳으로 확대, 강화했다. 그러나 지난해도 84곳 193㎞였던 철새 도래지 주변 축산 차량 통제구역을 234곳 352㎞로 확대하고, 광역방제기·드론·무인헬기·군제독차 등을 동원해 방역에 나섰지만 결국 바이러스 유입을 막지 못했다.
모인필 충북대 수의과대학 명예교수(전 한국가금학회장)는 “조류인플루엔자는 인간을 위협하는 코로나바이러스와 많이 닮았다”며 “코로나를 방어하려고 마스크 쓰고, 손 씻고, 거리두기를 하듯이 농가에선 축사 출입 때 장화 갈아신고, 이동을 자제하는 등 개인 방역이 필요하다. 야생 조류 도래, 국외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확대 등 상황이 매우 좋지 않지만 철저한 방역으로 농장 간 수평 전파를 막는다면 최악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