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평창 태기산에서 영그는 ‘일자리 창출·사회적경제 확산’ 꿈

등록 2020-11-09 04:59수정 2020-11-09 07:29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신품종 재배단지’
봉평·하동 등에서 산초, 두릅, 다래 신품종 재배
주민들은 사회적협동조합 꾸려 재배단지 운영 나서
장수·광양 등도 조성중…“10년 뒤엔 전국 40곳으로”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태기산 주변 주민들이 다래·두릅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태기산 주변 주민들이 다래·두릅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인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태기산(해발 1261m) 마루 부근.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25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산림 신품종 재배단지를 조성했다. 현재 5㏊ 규모 단지에선 두릅 3천그루, 다래 300그루 등이 자라는 중이다. 내년 봄엔 두릅 3만그루와 다래 1천그루를 더 심는 등, 해마다 농장을 키워나갈 참이다.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태기산 주변 마을 주민 등이 다래·두릅 재배단지 조성에 앞서 묘목 등에 대해 상의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태기산 주변 마을 주민 등이 다래·두릅 재배단지 조성에 앞서 묘목 등에 대해 상의하고 있다.

정부가 재배단지 설계와 조성, 기반시설 지원 등을 담당했다면, 이후 단지를 키우고 운영하는 건 주민들의 몫이다. 지난달 28일 지역 농민 등 76명은 ‘평창 태기산 사회적협동조합’을 꾸렸다. 이들은 내년엔 두릅 묘목, 2023년께부터는 다래를 수확해 판매할 계획이다.

고중규(55) 조합 대표는 “해발 950~980m 안팎에 조성된 재배단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다래·두릅 농장이다. 지역 주산물인 감자에 견줘 배 이상 소득이 날 것으로 기대한다. 태기산, 봉평장, 산림청 채종원 등과 연계한 관광 상품 개발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도 평창군 태기산 마루 부근에 조성한 두릅·다래 재배단지.
강원도 평창군 태기산 마루 부근에 조성한 두릅·다래 재배단지.

단지 운영에는 민간 육종가도 힘을 보태고 있다. 전남 광양에서 40여년 다래 농사를 지은 ‘다래 명인’ 김춘식(80)씨는 지난 1일 태기산 협동조합에 신품종 다래 묘목 100그루를 기증하고, 틈틈이 기술 지원을 하기로 했다. 김씨는 “높은 지대여서 일교차가 커 맛있는 다래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힘닿는 데까지 도울 생각”이라고 말했다.

경남 하동군 횡천면 주민 등이 지리산 자락에 산초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경남 하동군 횡천면 주민 등이 지리산 자락에 산초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지리산 청학골에서 멀지 않은 경남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일원 5㏊에는 산초 재배단지가 들어섰다. 마찬가지로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가 단지를 조성했고, 산초 재배농과 주민 등 59명은 지난달 25일 ‘지리산 하동산초 사회적협동조합’을 꾸렸다. 현재 산초 4천여그루가 심어져 자라는 중이다. 배태민(48) 조합 이사는 “산초는 염증 치료, 해독 효능이 뛰어난 약재이자 식재료로, 앞으로 쓰임새가 크게 늘 것으로 보고 재배단지를 조성했다. 새로운 일자리이면서 고소득원으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강원 평창, 경남 하동을 비롯해 2023년까지 200억원을 들여 전국 8곳에 주민 참여형 신품종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새품종 재배를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전북 장수, 전남 광양 등에 재배단지 조성을 진행 중이다. 장수·광양 지역 주민들도 최근 사회적협동조합 창립총회를 열었다. 내년엔 경북 김천, 강원 인제, 울산 울주, 전남 해남, 세종 등 후보지 5곳 가운데 2곳에 추가로 재배단지를 조성할 참이다.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는 산속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이 사업이 효과를 내면 2023~2025년 20곳, 2025~2030년 40곳으로 재배단지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최은형 센터장은 “생명산업 활성화를 위해 부가가치·산업화 효과가 높은 산림 신품종을 대량 생산·보급하려고 재배단지 조성을 지원하고 있다. 재배단지 주변 주민이 사회적협동조합 형태로 참여해 주민 일자리 창출, 소득 증대 효과도 클 것”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1.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2.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경기도 안성 법계사서 큰불…대웅전 전소 3.

경기도 안성 법계사서 큰불…대웅전 전소

“워낙 비싸 팔기도 죄송해진” 단맛 별미 ‘이것’ 4.

“워낙 비싸 팔기도 죄송해진” 단맛 별미 ‘이것’

송철호, ‘울산시장 선거개입’ 무죄 이어 ‘뇌물수수’ 혐의도 1심 무죄 5.

송철호, ‘울산시장 선거개입’ 무죄 이어 ‘뇌물수수’ 혐의도 1심 무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