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검이 5일 월성원전 1호기 고발 사건과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압수수색한 가운데 이날 오후 검찰 수사차량이 대전지검으로 복귀하고 있다. 송인걸 기자
월성 원전1호기 폐쇄 과정에서 경제성이 조작됐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와 관련해, 검찰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등 관련 기관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대전지검 형사5부(공공수사부·부장 이상현)는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부와 대구 한국가스공사 본사, 경북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대전지검은 “월성 원전 고발 사건과 관련해 산업부 에너지자원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했다. 현재 수사중이어서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검찰이 아침 일찍 들이닥쳐 월성 원전1호기와 관련한 부서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수사관들이 월성1호기 조기 폐쇄 정책결정과 관련된 문서들을 포괄적으로 살피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경북 경주시 양북면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에서도 이날 오전 9시30분께 검사와 수사관 30~40명이 압수수색에 나서 기술혁신처와 기획처 등에서 컴퓨터 파일과 문서 등을 확보하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달 20일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경제성이 지나치게 낮게 평가됐다는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서 감사원은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부가 판매단가 기준을 변경해 월성1호기의 전기판매수익이 낮게 측정되도록 했다”며 “산업부 공무원들이 감사원 감사가 시작되자 관련 파일을 조직적으로 삭제했다”고 지적했다.
감사 결과가 나오자 국민의힘은 지난달 22일 “월성1호기 원전의 경제성 평가를 조작해 조기 폐쇄를 결정했다”며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등 12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송인걸 김일우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