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서울 도심의 모습. 김규원 기자
역사상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를 돌파했다. 개발 시대 이후 지속돼온 수도권 집중 현상이 극단에 이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균형발전을 추진할 강력한 기구와 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6일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인구를 보면, 2019년 12월 말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전체 인구는 5184만9861명인데 이 가운데 50.002%인 2592만5799명이 서울과 경기, 인천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을 뺀 지방의 14개 광역 시·도엔 2592만4062명(49.998%)이 살아 수도권의 인구보다 1737명이 적었다. 수도권의 인구가 지방 인구보다 더 많아진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수도권의 인구 가운데 서울은 972만9107명, 경기는 1323만9666명, 인천은 295만7026명이었다. 서울 인구는 6·25전쟁 이후 계속 늘어나다가 1992년부터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경기와 인천의 인구 증가가 큰 폭으로 계속돼 수도권 전체 인구도 계속 늘고 있다. 결국 서울의 인구가 줄어든 것이 아니라, 서울 인구가 경기와 인천으로 퍼진 결과로 풀이된다.
수도권의 인구 비중은 1970년 전체 인구의 28.7% 수준이었으나 1980년 35.5%, 1990년 42.8%, 2000년 46.3%, 2010년 49.2%, 2019년 50.0%로 50년 동안 21.3%포인트 늘어났다. 수도권 비중은 2000년 이후에도 꾸준히 늘어났으나,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세종시와 혁신도시 입주가 활발했던 2011~2015년 일시 정체했다. 그러나 균형발전을 위한 후속 정책이 나오지 않으면서 2016년 이후 다시 비중이 높아져 50%를 돌파했다.
5일 시민단체 연대기구인 균형발전국민포럼은 성명을 내어 “대한민국 역사상 초유의 사건으로 매우 위중한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한다. 문재인 정부는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균형발전과 분권을 추진할 집행력을 가진 단일한 추진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이런 방안을 7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에 반영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