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오전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5·18민중항쟁 제39주년 추모제' 열려
김점례 씨가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아들 장재철 열사 묘소의 영정을 어루만지며 눈물 흘리고 있다. 광주/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5·18 민주화운동으로 아버지를 잃은 박복자 씨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 아버지의 묘소 앞에서 현장학습을 나온 학생들에게 아버지가 사라지게 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박 씨의 아버지는 1980년 5월 18일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여학생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군인을 말리다 사라졌다. 광주/백소아 기자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9주년 추모제에서 유가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광주/백소아 기자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한 유가족이 남편의 묘소를 찾고 있다. 광주/백소아 기자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9주년 추모제에서 유가족들이 희생자를 위한 묵념을 하고 있다. 광주/백소아 기자
김점례씨가 5·18 민주화운동 39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아들 묘소의 영정을 어루만지며 눈물 흘리고 있다. 광주/백소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