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가동시 미세먼지 81% 이상 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제공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81% 이상 실내 미세먼지(PM 2.5)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면적보다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월27일부터 지난달 7일 사이 79.2㎡(24평형) 아파트 공간에서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을 한 결과, 실내면적에 맞는 적정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은 81.7%로 환기(46.2%)나 미세먼지가 저절로 가라 앉는 자연 강하(23.8%)에 견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또한 46㎡의 아파트 거실에서 ㄱ(적정용량 46㎡), ㄴ(과용량 66㎡), ㄷ(초과용량 105.6㎡) 등 용량이 다른 공기청정기 3종을 가동해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 적정용량의 ㄱ 공기청정기는 81.7%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적정용량의 1.5배인 ㄴ 공기청정기는 92.9% 효율을 나타내 실내면적보다 1.5배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했을 때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5배를 초과하는 ㄷ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은 92.5%로 ㄴ 청정기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1.5배를 초과하는 과용량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공기청정기기의 위치가 거실 중앙, 벽면, 모서리에 따라서 미세먼지 저감 효율 변화를 본 결과 가동 위치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기청정기 가까운 곳이나 먼 곳이나 미세먼지 농도에 차이가 없었다.
공기청정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환기장치 등을 동시 가동할 필요가 있다.
공기청정기 가동 때 초기에는 최대 바람량으로 10분 이상 가동한 뒤 10분 이후부터 중간 풍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용법이라고 보건환경연구원은 설명했다. 또한 바깥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자연 환기가 불가능할 경우는 환기장치와 주방 레인지후드, 욕실 배기 팬을 동시에 가동한 뒤 공기청정기를 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