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자체 개발한 시민교육 교과서가 올해는 전국 11개 시도로 확산돼 사용된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자체 개발한 시민교육 교과서가 서울 등 전국 11개 시·도 교육청의 교과서로 채택됐다.
경기도교육청은 서울, 광주, 세종, 울산시를 비롯해 11개 시·도교육청의 시민교육 교과서 사용을 승인했다고 11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2014년 학생들에게 민주시민 교육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 교과서를 개발했다. 현재 시민교육을 교육과정 내 선택교과로 편성하는 학교가 늘면서 지난해 4월 기준 경기 지역 학교 68%가 이 교과서를 활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민교육 교과서는 모두 10권으로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4권 △평화시대를 여는 통일 시민 3권 △지구촌과 함께 하는 세계시민 3권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 교과서는 초·중·고등학교용으로 나뉘어 있으며,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 초등교과서는 3∼4학년용과 5∼6학년용으로 세분됐다.
다른 지역 시·도교육청이 시민교육 교과서를 사용할 경우 저작권이 있는 경기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어 사용 승인을 받아야 한다. 2015년 서울시교육청을 시작으로 올해는 서울, 광주, 강원, 충남, 전북, 세종, 충북, 전남, 경남, 인천, 울산 등 11개 시·도교육청이 사용 승인을 받은 상태다.
김광옥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장은 “민주시민 교과서는 우리 시대의 사회적 쟁점을 토론하고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재로서 시민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마련되면서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