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문희상 국회의장과 이재명 경기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경기도 제공
지역화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맹점 범위를 지정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31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토론회’에서 김병조 울산과학대 교수는 “현재 가맹점 범위를 연 매출 5억원 또는 10억원으로 할지를 놓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10억원으로 할 경우 편의점 대부분이 포함된다”며 “그렇게 되면 ‘골목상권 살리기’를 위한 수단인 지역화폐의 본래 취지가 훼손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는 카드, 지류, 모바일 등 지급수단 다양화 등을 통해 최대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지역화폐가 역외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맹점 범위 지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방기홍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 총연합회장은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기업들이 내수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화폐가 독과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인 만큼 사용자 편의를 이유로 가맹점을 너무 확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역화폐를 널리 확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급수단 다양화 △포인트 및 연말정산 등 혜택 제공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등이 제시됐다. 이충환 경기도상인연합회장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류와 모바일, 카드 등 모든 결제수단을 제공해야 하며 지역화폐 사용자에 대한 연말정산 혜택이나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미정 경기도의원은 “지역화폐의 본래 취지 등이 널리 알려져야만 성공을 거둘 수 있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상인 등을 대상으로 지역화폐에 대한 교육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31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발언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이재명 경기지사는 “우리 경제의 어려움은 자본, 기술, 배움, 인구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가장 큰 원인은 자원과 기회가 한 곳에 쌓여 잠자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 경제도 지방과 골목, 서민과 영세자영업자가 함께 공평하게 기회를 누리는 사회로 바뀌어야 한다. 그것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담보하는 정책으로 현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성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역화폐는 특정 소수가 아닌 다수가 함께 사는 공동체 경제, 합리적 경제구조를 만드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재명 지사 뿐만 아니라 문희상·김경협·김영진 등 국회의원 42명, 인태연 청와대자영업비서관 등 정부관계자를 비롯한 소상공인 및 자영업 단체, 소비자, 아동 부모, 청년 각계각층 대표 100여명이 참여했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균형적·포용적 성장을 위해서는 불평등과 양극화를 바로잡아야 한다.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중요한 시기를 맞아 지역화폐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시의적절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지역화폐는) 내수 활성화를 통해 잠재력을 키워냄으로써 경제가 축소되고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책 중 하나다. 토론회를 통해 지역화폐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법을 제시해주시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많이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