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한 로컬푸드 직매장 모습. 경기도 제공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지역 농산물을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사고파는 전국의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이 최근 5년 사이 13배나 뛰어 지난해 매출 4천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속가능한 로컬푸드의 성장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관심과 품질인증제 도입을 통한 소비자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해 전국 로컬푸드 매출액은 4335억원 매장 수는 229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2013년부터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사업에 나선 이래 최고치다.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액과 매장 수는 2013년에 견줘 각각 13배와 9배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로컬푸드 직매장 매출액이 1130억원으로 처음 1천억원대를 넘어선 경기도에서는 2013년에 견줘 매출액이 22.6배 증가했다. 도는 “신선하고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는데다 직매장 확산 및 지원사업을 확대하면서 매출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컬푸드가 성장세를 보이자 정부도 나섰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로컬푸드 직매장 설치에 따른 사업자의 자부담 비율을 기존 70%에서 올해 40%까지 낮춰 직매장 설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는 직매장 설치 때 국비 30%, 자부담 70%였는데, 올해부터 국비 30%, 지방비 30%, 자부담 40%로 자부담 비율을 낮췄다”며 “이번에 새롭게 지방정부의 자부담 비율을 새로 넣어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로컬푸드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로컬푸드 직매장이 농산물 직거래를 통해 소비자에게는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지역 농민을 살릴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로컬푸드가 안착할 때까지 인증제 등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경영 지원을 위한 지방정부의 관심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평택이다. 2012년 문을 연 평택 로컬푸드 직매장은 직원들의 인건비와 낮은 수수료율을 이겨내지 못하고 지난해 4월 문을 닫았다. 김덕일 평택농업희망포럼 대표는 “매장 1곳당 60~100평을 기준으로 월 1억원 정도 매출 기준을 맞췄지만 인건비와 상품 수수료율, 여기에 카드 수수료까지 포함하면 겨우 본전 수준이었다. 농업정책에서 연간 13억원의 농민 수입을 올릴 수 있게 해줄 정책이 별로 없는데 지방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아쉽다”고 말했다.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조사한 로컬푸드 인식 조사 내용을 보면 로컬푸드 직매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거리가 너무 멀어서가 절반에 가까운 55.3%였다. 이어서 생각보다 싸지 않다(20.5%), 인지하고 있지만 잘 몰라서(8.7%), 품목 구성이 단조롭다(6.8%) 순이었다.
경기연구원 상생경제연구실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자금이 부족하다 보니 직매장 입지가 대부분 도시 외곽으로 소비자 접근성이 떨어진다. 또 직매장 농산물에 대한 인증제를 실시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데 인증비용이 비싸다. 일본의 경우 로컬푸드가 안착할 때까지 지방정부가 지원하고 이후 로컬푸드 스스로 자립하도록 한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용덕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