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8명이 이웃 주민의 흡연으로 인한 간접피해를 겪었고 피해 경험자 10명 중 6명은 그냥 참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기도가 자체 온라인 여론조사 시스템을 이용해 도민 1542명을 상대로 간접흡연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78%인 1197명이 이웃집 주민의 흡연으로 간접피해를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이웃집의 간접흡연 피해를 호소했다.
간접 흡연 중 이웃세대의 간접 흡연 피해 장소는 베란다가 가장 많았다.
간접 흡연 피해를 입는 장소는 베란다(59%), 화장실(48%), 현관 출입구(41%), 계단(40%), 복도(36%), 주차장(30%) 순이었다. 간접 흡연의 피해 정도에 대해서는 유경험자의 74%가 ‘심각하다’고 답했고 26%만이 ‘심각하지 않다’고 했다.
또 이웃 세대의 간접흡연에 대한 조치로는 62%가 ‘그냥 참았다’고 답했고, 21%는 관리사무소 등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으며, 8%는 대화를 시도했으나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와 공공시설에서의 간접흡연 피해는 더 심각해 응답자의 91%가 피해를 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88%는 피해 정도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려면 주민 스스로 먼저 노력해야 하고, 다음으로 주민자치기구나 국가, 지자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용덕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