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과’ 이름 변경을 추진했던 경북 구미시가 결국 새마을과 이름을 그냥 두기로 했다.
구미시는 15일 오전 장세용 시장 주재로 조례규칙심의위원회를 열어 이렇게 결정했다. 구미시는 새마을과를 시민공동체과로 이름을 바꾸는 내용을 뺀 ‘구미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16일 구미시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시의회는 오는 26일부터 다음달 14일까지 열리는 정례회에서 이 조례안을 심의한다.
이 조례안의 핵심은 현행 4국 1실인 조직을 6국으로 바꿔 경제와 문화 분야 조직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 국비 확보 등을 위해 서울사무소를 신설하는 내용도 들어있다. 하지만 시의회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의원들과 보수단체는 이 조례안에 새마을과 이름을 바꾸는 내용이 들어있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시는 시민협치새마을과, 시민소통새마을과, 새마을공동체과 등을 대안으로 시의회에 제안하기도 했다.
시의회는 한국당 12명, 민주당 8명, 바른미래당 1명, 무소속 1명 등 22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방의회에서 조례안은 재적의원 과반수가 출석해 출석의원 과반수가 찬성해야 통과할 수 있다. 시는 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하지 못해 조직 개편을 할 수 없는 상황을 피하려고 새마을과 이름을 그냥 쓰기로 결정했다.
장세용 시장은 “시민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애초 의도와 달리 단지 새마을이라는 명칭만으로 시민사회에 갈등과 논쟁이 되는 부분은 안타까운 마음이다. 부서 명칭에 따른 시정낭비를 종식하고, 구미 발전을 위하여 실질적 기능과 역량을 갖춘 행정조직으로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구미시 새마을과는 1978년 만들어졌다. 현재 경북 23개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새마을과라는 부서 이름을 쓰는 곳은 구미시와 청도군 뿐이다.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구미는 최초로 민주당 후보가 시장에 당선됐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