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동원을 남북 공동으로 공론화하기 위해
16일 경기도 ‘아태평화번영 국제대회’에 참석 예정
이해찬·이재명 만나고 정부와 물밑 접촉 가능성도
16일 경기도 ‘아태평화번영 국제대회’에 참석 예정
이해찬·이재명 만나고 정부와 물밑 접촉 가능성도
리종혁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조국통일연구원장) 등 북쪽 고위급 인사들이 남쪽을 방문했다.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진상규명과 피해 배상에 관해 남북이 머리를 맞대기 위해서다. 남북이 일제의 강제동원 피해 문제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기도는 “리종혁 원장 등 북쪽 대표단 5명이 14일 오후 인천공항으로 들어와 오는 17일까지 머문다”고 이날 밝혔다. 이들은 오는 16일 경기도와 아태평화교류협회가 고양시 엠블호텔에서 여는 ‘아시아태평양의 평화번영을 위한 국제대회’에 참석해 일본의 강제동원과 진상규명을 촉구하기 위해 방남했다.
이번 대회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사과했던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를 비롯해 중국과 필리핀 등 일제의 강제동원 피해를 본 아시아 8개국 대표도 참가한다. 남쪽에서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해 이재명 경기지사와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등이 참석한다. 애초 참석하기로 했던 김성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실장 등 2명은 북측 사정에 의해 불참한다고 경기도에 통보해왔다.
이번 국제대회는 지난달 4~6일 ‘10·4 남북공동선언 기념행사’ 참석차 평양을 방문한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북쪽과 옥류관 남한 분점 설치 등 교류협력사업 6개에 합의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지난번 만남에서 북쪽은 1938년 일본이 강제동원법을 발효해 많은 조선인을 징용했지만, 전후 이에 대해 사과한 적이 없고 조선인 희생자가 방치된 상태라는 사실을 언급했다고 경기도 쪽은 밝혔다. 또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함께 일본 전범기업 200여곳에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화영 부지사는 “이번 만남은 청산되지 않은 대일 항쟁기 전쟁피해, 강제노역 문제를 남북이 처음으로 함께 공론화하고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남북 정상회담 뒤 성사된 지방정부의 첫 남북 교류 사업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16일 대회 때 공동 합의문도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북쪽 대표단 방문을 경기도와 민간단체의 남북 교류 행사라며 선을 그었다. 북쪽 대표단은
그러나 방문 기간에 이해찬 대표, 이재명 지사와 만찬을 함께하고, 임진각과 산업시설 등을 방문하는 등 공식 행사 외에 비공식 일정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 원장과 김 실장이 북쪽의 고위급 인사들이기 때문에 남북 정부 차원의 물밑 접촉도 예상된다. 또 이재명 지사의 방북과 옥류관 남한 분점 설치 등 경기도가 희망해온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