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6일 경북 구미시 상모동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옆 터에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공사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건립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경북 구미시가 논란이 되는 주요 현안을 심의·결정할 공론화위원회를 도입하려고 하자 보수와 진보단체가 동시에 들고 일어났다. 이들은 시가 박정희 자료관 건립·운영 문제를 공론화위에 부칠 것으로 보고 있다.
보수단체들로 구성된 ‘박정희 대통령 역사 지우기 반대 대책위원회’는 4일 “장세용 시장은 당선 후 새마을테마공원과 박정희 역사자료관 등을 계획대로 추진한다고 밝히더니, 진보단체의 (박정희 자료관 백지화 요구) 1인 시위를 이유로 공론화위원회라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공론화위원회 도입은 박정희 역사 지우기”라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6일 오후 1시 구미시 원평동 구미역 앞에서 대규모 규탄집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구미참여연대도 이날 “우리는 공론화위원회 설치와 별개로 박정희 유물관 문제를 공론화위로 넘기려는 구미시의 입장에 분명히 반대한다. 박정희 유물관을 둘러싼 갈등은 시민들 사이에 갈등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공사를 강행한 구미시와 시민들 사이의 갈등이다. 또 박정희를 이용해 정치적 사익을 챙기려 한 적폐 세력과 시민들 사이의 갈등”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7월4일 준공된지 6개월이 지난 경북 구미시 상모동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이 텅 비어있다. 구미시 제공
앞서 지난달 12일 구미시는 ‘구미시 시민참여 공론화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공론화위원회는 찬반 의견이 상충되는 주요 현안에 대해 심의·의결하는 권한을 갖는다. 구미시는 이 조례안을 오는 22~31일 열리는 구미시 의회 제226회 임시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할지는 불투명하다. 총원 23명인 시의회는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이 12명으로 과반수이며, 더불어민주당 9명, 바른미래당 1명, 무소속 1명이다. 시 관계자는 “조례도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박정희 대통령 역사 자료관 건립 문제를 공론화위에서 다룰지도 결정되지 안았다”고 선을 그었다.
구미시는 한국당 남유진 시장 시절 195억원을 들여 구미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옆에 박정희 자료관 건립을 추진했다. 지난해 12월 시작된 공사는 현재 35% 진행됐다. 구미시는 박정희 자료관에 전시할 유물 5670점을 구미 선산 출장소에 모아둔 상태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