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제2교육위원회가 4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교복지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홍용덕 기자
학생과 학부모들은 무상교복을 ‘현금’보다는 ‘현물’으로 받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의회 제2 교육위원회는 지난달 22~24일 도내 31개 시·군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학생·학부모 9380명을 대상으로 ‘교복 지원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3.0%(5909명)가 ‘현물’을 선택했다고 4일 밝혔다. 학생은 63.2%(3823명), 학부모는 62.6%(2086명)가 현물을 선호했다. 반면 ‘현금’을 원한 응답자는 37.0%(3471명)이었다.
이번 설문 조사는 경기도 의회가 ‘경기도 학교 교복 지원 조례안’ 심의를 앞두고 무상교복 지급방식과 관련해 ‘현물이냐 현금이냐’를 놓고 교복 업계와 학부모·학생들 사이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아 이뤄졌다.
교복지원 방식 설문 조사 결과. 경기도의회 제공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과 자체 브랜드를 생산하는 중소업체들은 “교복은 급식, 교과서와 같이 학교에서 쓰는 공공재이므로 현물로 지급돼야 하며, 그래야 가격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학교를사랑하는학부모모임과 유명 브랜드 4사에 교복을 공급하는 사업자 단체는 “무상교복 현물 지급 조례안은 각 학교의 교복 공동구매추진위와 학교 구성원의 선택권과 자율성을 침해한다”며 학생들이 개별 구입할 수 있도록 현금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경기도 의회 조광희(민주당·안양5) 제2 교육위원장은 “6개월을 끈 해당 조례안을 이번 임시회에서 처리할 예정이며, 공청회와 설문조사 결과는 참고만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 교육청은 지난달 22일 ‘충청남도 학교 교복 지원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 무상교복 지급방식은 교육감이 중학교에 교복 구입비를 지원하고, 중학교는 업체를 선정해 학생에게 현물로 지급하는 것이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학생에게 현금으로 지원할 경우, 더 비싼 교복을 구입할 우려가 있다. 이는 교육 차별을 철폐하려는 무상교복 지원 취지에 맞지 않아 조례 제6조에 현물 지원을 명시했다”고 말했다.
홍용덕 송인걸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