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선 경기 평택시장이 22일 성균관대의 브레인시티 투자 철회를 설명하고 있다. ♣H6평택시 제공
경기도 평택시가 11년 동안 추진해온 브레인시티 개발 사업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이 사업의 핵심 유치 대상인 성균관대학이 학교 재정난 등을 이유로 투자 철회를 밝혔기 때문이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22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성균관대가 최근 브레인시티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가 불가하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쪽은 투자 철회 이유로 ‘학생 수 감소와 학교의 재정난’을 평택시에 통보했다. 성균관대가 최종적으로 투자 의사를 철회하면서 11년간 질질 끌어온 브레인시티 개발은 지역사회 갈등 등 극심한 후유증만 남긴 채 사실상 백지화됐다.
평택시는 2007년 6월 도일동 일대 482만여㎡를 산업과 주택, 학교 등의 첨단 복합산업단지로 개발하기로 하고 이 중 122만㎡에 성대 평택캠퍼스를 유치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성균관대와 맺었다. 이 과정에서 시행사가 4년 동안 사업 착공도 못 하자 경기도는 2014년 4월 재원 조달이 불확실하다며 사업승인을 취소했다. 하지만, 같은 7월 당시 새누리당 소속의 남경필 전 경기지사와 공재광 전 평택시장이 사업재개를 공동 선거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되면서 사업이 다시 추진됐다.
평택시는 이후 사업 재추진 과정에서 성균관대 평택캠퍼스 용지 중 22만여㎡를 산업용지로 바꾸고 성균관대 평택캠퍼스도 단순히 과학연구단지인 사이언스 파크로 축소하는 등 브레인시티 사업은 쪼그라들었다.
이처럼 11년 동안 사업 착수가 늦어지면서 브레인시티 개발이익을 노린 외지인들의 부동산투기와 기획부동산 업자들의 가세에 따른 땅값 상승 등의 거품과 사업성 악화, 찬·반 주민 간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평택지역의 미래 먹거리라며 특혜를 주어서라도 성대 캠퍼스를 유치하고 브레인시티 개발을 강행해야 한다면서 이득을 챙긴 자들과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해 지역사회를 혼란에 빠트리고 주민을 우롱한 자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정장선 시장이 시장에 취임한 뒤 이런 사실을 알고도 묵인했는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시장은 “브레인시티개발 대신 4차 산업 관련 시설의 유치를 위해 노력하되 평택시가 성균관대에 지원하려던 토지공급분과 건축비 지원 2450억은 유지하는 쪽으로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