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광주시민항쟁을 무력으로 진압한 뒤 소준열 광주전남북계엄분소장(오른쪽)이 웃음을 짓고 있다. 5·18기록관 제공
“무전기 채널이 달랐다.”
1980년 5·18 당시 3공수여단 11대대 소속 지역대장으로 광주에 왔던 신순용(70) 전 소령은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당시 공수부대만 별도로 쓰던 무전기와 31사단 등 일반 계엄군들과 함께 쓰는 무전기 등 2가지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공수부대는 일반 계엄군과 공유하지 않은 정보 보고와 지시가 있었다는 것이다.
광주에 파견된 공수부대엔 P-77과 U-87 두 종류의 무전기가 있었다고 한다. 2007년 국방부 과거사위원회 진상보고서의 출장면담 기록을 보면, 일선 공수부대와 특전사령부 사이에서 교신할 때는 음어(비밀언어)를 사용했다고 돼 있다. 실제로 7공수여단 33대대의 무전병이었던 민아무개 하사는 “하루 3번 오전 10시, 오후 5시, 밤 10시 등 시간을 정해놓고 U-87 무전기를 열어 음어를 주고받았다. 이것은 오로지 사령부와의 교신에만 사용했다”고 증언했다.
이런 이중적인 무전 교신 체계를 방증하는 것이 5·18 당시 군 사이의 오인 사격이다. 1980년 5월24일 오후 1시55분 전투병과교육사령부(전교사) 보병학교 병력은 광주 효천역 부근에서 이동 중이던 11공수여단 부대를 시민군으로 잘못 알고 집중사격을 퍼부었다. 당시 교전으로 11공수여단 63대대 군인 9명이 사망하고 양쪽 부대에서 33명이 다쳤다. 이 오인 사격 뒤 11공수여단은 어이없게도 인근 마을 주민 4명을 보복 사살했다.
무전체계의 이원화에 따른 지휘권 이원화는 발포 명령자를 밝히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시 공식 지휘 체계는 계엄사령관-2군사령관-전투병과교육사령관-31사단장-공수여단장이다. 그러나 실제로 공수부대는 공식 지휘 체계에서 벗어나 전두환 보안사령관-정호용 특전사령관-최웅 공수여단장으로 이어진 비공식적인 지휘를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전두환과 정호용은 12·12 군사쿠데타를 일으킨 장본인들이었다. 발포 명령자를 밝히는 일은 국회 광주청문회(1988~89)와 검찰 수사와 재판(1995~97), 국방부 과거사위원회 조사(2007)에서 모두 실패했다.
이에 따라 새로 꾸려질 5·18진상규명위원회는 군 내부의 사조직인 하나회를 통해 어떻게 불법적인 지휘 체계를 작동시켰는지 밝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5·18 저술가 이재의씨는 “발포 명령에 대한 명시적 증거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지휘 체계 이원화를 규명하는 것이 발포 명령의 진실을 밝히는 유력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광주에 파견됐고 1980년 5월20일 밤 광주역 앞에서 시민들을 향해 첫 발포를 한 3공수여단 지휘관인 최세창(육사 13기)은 전두환의 최측근이었다. 5·18 당시 전차와 무장헬기 동원을 주장한 황영시 육군참모차장은 전두환의 사관학교 생도 시절의 구대장(조교)이었다. 전두환의 육사 동기생인 정호용 특전사령관은 헬리콥터를 타고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광주에서 진압 작전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대하 안관옥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