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25일 6·13지방선거와 관련해 협치를 위한 경기도 정책과제를 제안했다./홍용덕 기자
경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오는 6·13 지방선거는 도민이 주체가 되는 경기도정의 전면적 협치 실현의 장이 되어야 한다”며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회적경제활성화경기네트워크, 경기도탈핵에너지전환네트워크, (사)경기시민연구소 울림은 25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민이 주체가 되는 경기도정의 전면적 협치 실현 △도민 수요를 반영하는 경기도 행정조직 전면적 개편 △시민사회 활성화 방안을 담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들은 전면적 협치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연정을 넘어, 경기도민과 시민사회 등 참여와 다양성이 보장되는 도정 전반을 총괄할 협치기구 설치와 ‘경기도 주민참여 기본조례 제정’을 요구했다. 또 협치친화적 위원회 혁신을 위해 184개에 이르는 경기도 위원회에 시민참여를 확대하고, 위원회 운영 활성화와 지원체계의 다변화를 요구했다. 시민사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에 비영리기구(NPO)센터를 설치하고, 민주시민교육 내실화, 지역공익재단 지원을 추진할 것도 제안했다.
이들은 이날 △사회적 경제 △교육 △보건복지 △기후변화에너지전환 △장애인 △평화통일 분야의 정책과제도 제안했으며 △환경 △여성 △문화예술 분야의 정책과제는 추후 발표하기로 했다.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이정희 운영위원장은 “여·야 경기지사 후보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이번에 제시한 정책과제를 선거 공약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하고, 선거 과정에서 공약화 여부를 평가할 계획이다. 선거 이후에는 실천 여부도 평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