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북으로 가는 말라리아 방역물자. 경기도제공
6년 만에 말라리아 남북공동방역이 추진됐으나 공동방역이 남북정상회담 이후로 미뤄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일 경기도의 말을 종합하면, 경기도, 강원도, 인천시 등 접경지역 3개 지자체는 최근 회의를 열어 4∼10월 말라리아 유행에 대비해 남북공동방역사업 재개 준비에 들어가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를 위해 올해 35억원을 들여 말라리아 유충 구제에 이어 5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말라리아 모기 방역에 나설 계획을 세웠다. 또 9억5000만원을 들여 북한에 말라리아 방역물자를 제공하기로 했다. 말라리아 진단키트와 방역 차량, 구제 약품이 포함됐다.
경기도는 최근 공동방역을 놓고 북쪽과 의견을 나눴다. 북쪽은 ‘4월27일 남북정상회담 이후로 남북 공동방역을 미루자’는 태도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도 쪽은 “북쪽의 공동방역 담당부서도 남북정상회담 준비에 집중하면서 공동방역사업이 후순위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최근 말라리아 매개 모기인 ‘얼룩날개 모기’가 예년과 달리 5주 정도 빨리 출현하면서 조기 공동방역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예년에는 보통 7월 초~8월 중·하순에 극성을 부리는 말라리아 모기가 올해는 한 달 정도 빠른 6~7월 초부터 극성을 부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늪에 알을 낳는 매개 모기의 특성상 남북으로 너비 4㎞에 이르는 비무장지대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에게 최적의 서식지다. 또 모기가 바람을 타고 19㎞까지 이동하다 보니 남쪽 지역만의 방역으로는 한계가 있다. 또 오는 6월 에이즈와 결핵, 말라리아 세계퇴치기금(세계기금)의 대북 기금 지원이 끊기면서 북쪽의 말라리아 방역이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일고 있다.
박신환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말라리아 공동방역사업은 남북한의 비무장지대 인근 주민과 군인을 위한 인도적 사업이다. 정상회담 이전이라도 말라리아 공동방역사업이 빨리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21억원을 들여 북한에 말라리아 방역 물자를 지원해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남북공동방역을 했다. 휴전선 이남 지역 말라리아 환자는 2007년 2227명에서 남북공동방역을 한 뒤 2011년 838명으로 줄어든 바 있다. 2012년 이후 남북관계 악화로 공동방역이 중단됐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