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안산 추모공원이 들어설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 전경. 가운데 정부 합동분향소가 있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과 교사를 기릴 세월호 추모공원이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의 정부합동분향소 옆에 조성된다. 세월호 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세월호 희생자 추모공원을 조성키로 한 지 2년 5개월여만이다.
제종길 경기 안산시장은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산지역 추모공원은 현재 정부합동분향소가 위치한 화랑유원지의 한 곳에 희생자 봉안시설을 포함해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안산시는 이를 위해 추모공원 조성을 위한 50인 위원회를 구성해 세부 계획을 짜고 추모공원은 국제공모를 통해 친환경적으로 디자인하기로 했다.
제 시장은 아울러 “안산에서 세월호 관련 설치물을 정비하고 정부합동분향소는 오는 4월16일 세월호 희생자 합동 영결식 뒤 정부에 철거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 뒤 안산시는 이날부터 안산지역 세월호 관련 현수막과 천막 정비에 나섰다.
제 시장은 “추모공원 조성 지연이 지역 내 더 큰 갈등으로 비화할 우려가 있어 어려운 결단을 내리게 됐다. 지역 주민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쪽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5년 9월 세월호 추모공원 조성을 위해 실무위원회를 꾸려 논의해왔으나, 대상지 선정을 놓고 지역 내 찬반 의견이 팽팽해 2년 이상 해법을 찾지 못했다.
위성태 4·16안산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추모공원 조성에 대한 구체적 정보와 이해 부족이 주민 갈등의 원인이 돼왔다. 주민과의 대화를 통해 이 공원이 지역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변화시킬지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일 국회에서 제종길 경기도 안산시장(가운데)이 전해철 의원(오른쪽에서 두번째), 김철민(왼쪽에서 첫번째)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월호 추모공원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날 제 시장의 발표에 대해 안산시 자유한국당이 즉각 반대투쟁을 선언해 앞으로도 추모시설 조성에는 험로가 예상된다. 이날 자유한국당 소속 안산시 의원 8명은 시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추모공원을 지으려면) 촛불이 시작됐고 많은 시민이 찾는 서울 광화문광장이 적합하다. 시민을 무시한 일방적인 이번 결정을 절대 수용할 수 없다.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당의 반대 외에도 화랑유원지는 안산의 중심지역이어서 주민을 설득하는 것도 관건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한 시민단체가 화랑유원지 내 추모시설 건립 반대 서명지를 시에 냈는데 모두 3만3천여명이었다. 이는 같은 시기 4·16안산시민연대가 추모시설 조기 설립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서명을 받은 숫자와 같은 수준이다.
2014년 4월16일 세월호의 침몰에 따른 희생자는 모두 304명이며, 이 가운데 단원고 학생은 250명이다. 또 당시 사고로 숨진 교사도 참사 직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교감을 포함해 12명에 이른다.
글 홍용덕 김기성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안산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