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와 경기도의회가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따른 4자 협의체 구성을 요구하자 지난 24일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남경필 경기지사.
경기도민 4명 중 3명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찬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정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74.4%가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계획에 찬성했다고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반대는 21.1%, 무응답은 4.5%였다.
준공영제 참여 의사를 밝힌 22개 시·군 주민은 75.8%가, 불참 의사를 밝힌 성남·고양 등 2개 시도 주민 74.0%가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이후 시내버스까지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57.4%가 찬성했다.
준공영제 실시로 기대되는 점은 ‘사용자 중심의 노선조정을 통한 이용자 접근성 향상’(38.9%), ‘운전기사 근로여건 개선을 통한 도민 안전 확보’(33.1%) 순이었다. 우려되는 사항으로는 ‘세금 부담이 커질 가능성’(38.6%)과 ‘버스회사의 안정적 이윤보장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26.4%)이 꼽혔다.
장기적인 경기도 버스체계 운영방식으로는 ‘민영체제를 유지하되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준공영방식’(48.7%), ‘지자체가 직접 버스서비스를 제공하는 완전공영(28.3%), ‘시장원리에 맡기는 완전민영’(19.8%)순이었다.
경기도는 내년 1월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했으나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와 경기도의회가 ‘경기도-도의회-시·군-시·군의회’ 4자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더 하자고 합의하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경기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