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태영 경기 수원시장은 28일 이명박 정부의 사찰 의혹에 대해 형사 고발 등의 법적 조처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원시 제공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가 나서 야권 지방자치단체장들을 ‘국정운영 저해 세력’으로 분류하고 예산 삭감 등의 방식으로 이들을 노골적으로 탄압했다는 문건이 확인되자 염태영 경기 수원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은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법적 처벌을 요구키로 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28일 ‘불법사찰의혹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이명박 정부 시절, 야권의 지자체장을 불법 사찰하고 제압하려는 의도가 담긴 문건은 단순한 동향파악을 넘어, 중앙부처와 사정기관, 한나라당 시·도당, 이른바 일부 ‘건전언론’과 보수단체까지 동원해 지자체장을 제압하려는 것으로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염 시장은 또 “수원시장에 대한 사찰과 제압 의혹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125만 수원시민에 대한 모독으로, 독재정권하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 21세기 대명천지 민주사회에서 기획되고 자행되었다는 것은 민주주의 기본질서를 뿌리째 뒤흔드는 일이자, 중대한 권력남용”이라며 사찰 대상이 된 지방자치단체장과 협의해 철저한 진상조사와 형사 고발 등 법적 조처에 나서기로 했다.
이재명 경기 성남시장은 28일 이명박 정부의 사찰 의혹에 대해 자신에 대한 종북·표절·패륜몰이의 실체가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성남시 제공
이재명 성남시장도 “이명박과 국가정보원의 이재명 시장 제거 공작의 흑역사가 사실로 드러났다”며 국정원 적폐청산 티에프팀에 진상규명요구를 접수했다. 이 시장은 이명박 정부의 청와대에서 시작된 이재명 제거 시도가 국가정보원을 통해 종북몰이, 패륜몰이, 표절몰이 등으로 이어진 것이 이번에 사실로 확인된 만큼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2008~2010년 민주당 상근 부대변인으로 있으면서 당시 비비케이(BBK)사건 등 이명박 비리를 집중적으로 제기했으며 2010년 성남시장으로 당선됐다. 그러나 당선 직후인 2011년 청와대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합동으로 2개월에 걸친 성남시 내사를 시작으로 같은 해 6월 당시 임태희 청와대 비서실장이 40쪽 분량의 ‘성남시 현황 및 원인 분석 보고서’를 통해 보수단체를 동원해 이재명 시장을 주민 소환하는 등 이재명 시장 퇴진계획이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고 이후 국정원의 종북몰이 등으로 피해를 겪었다.
2011년 국정원이 생산한 것으로 추정되는 ‘야권 지자체장의 국정운영 저해 실태 및 고려사항’ 보고서에서 염태영 수원시장은 박원순 지원활동과 함께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하고 수원 연화장 내 노 전 대통령 추모비 건립을 측면지원하는 등의 노골적 친노 활동을 하고 있다고 되어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4대강 사업을 반대하고 지역 좌파단체들의 ‘4대강 사업 비판’ 사진전을 시청 중앙로에서 개최하도록 지원하는가 하면 좌파단체를 편향 지원하고 있다고 되어 있다.
글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