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전환율은 주택 가격이 높은 동남권과 아파트 지구에서 낮은 편이었다.
서울에서 전월세 전환율이 가장 낮은 곳은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동남권의 4개 구로 나타났다. 전월세 전환율이 가장 높은 곳은 도심권과 서북권이었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이율이며, 전환율이 낮을수록 월세 부담이 작아진다.
10일 서울시가 발표한 2분기 전월세 전환율 통계를 보면, 서울 주택의 2분기 전월세 전환율은 1분기의 5.2%보다 0.2%포인트 내린 5.0%였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6.1%보다는 1.1% 내렸다. 서울에서 가장 높은 구는 금천으로 5.8%였으며, 종로(5.7%), 용산·은평·강북(5.5%)이 그 다음이었다. 전월세 전환율이 가장 낮은 구는 강동·송파 4.4%, 서초 4.5%, 광진 4.6%이었다.
권역별로는 종로·중·용산구 등 도심권과 서대문·마포·은평구의 서북권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동남권이 4.5%로 가장 낮았다. 그밖에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구 등 서남권이 5.2%,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 등 동북권이 5.0%였다.
도심권과 서북권, 단독주택은 전월세 전환율이 비교적 높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단독·다가구가 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세대·연립이 4.9%, 아파트가 4.4%였다. 특히 서북권의 단독·다가구는 6.4%로 5개 권역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동남권은 4.3%로 가장 낮았다.
전세 보증금 수준으로 볼 때는 1억원 이하가 6.4%로 가장 높았고, 3억원 초과가 4.2%로 가장 낮았다. 특히 단독·다가구는 전세 보증금 1억원 이하일 때는 6.7%로 가장 높았고, 2~3억원일 때는 3.6%로 가장 낮았다.
서울시 김용경 전월세팀장은 “그동안 전세에 비해 너무 높았던 월세가 정상화하는 과정에 있다. 대체로 주택 가격이 높은 동남권과 아파트는 비교적 전환율이 낮은 편이고, 가격이 낮은 편인 도심·서북권과 단독주택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부담 가능한 수준으로 월세가 수렴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글·사진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