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과 이른 더위로 녹조 현상 당분간 지속될 듯
환경단체 “일부 보 수문 찔끔 개방으론 해결 불가”
환경단체 “일부 보 수문 찔끔 개방으론 해결 불가”
녹조 발생을 막기 위한 정부의 4대강 일부 보 상시개방 조처가 무색하게 낙동강에 녹조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녹조의 첫 출현 시기가 조류경보 첫 발령일 기준으로 일주일 늦었는데도 더 빠르게 증가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가뭄이 장기화하면서 유량과 유속이 크게 저하돼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지난 1일 전체 16개 보 가운데 6개 보의 수문을 일부 연 수준으론 녹조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며 완전 개방을 요구했다.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공개된 조류측정 정보와 환경부가 16일 밝힌 최근 낙동강 수질 측정 결과를 보면 녹조 원인물질인 남조류 개체수가, 가장 최근 측정일인 지난 12일 측정치 기준으로 8개 보 가운데 맨 상류에 있는 상주보와 위에서 네 번째인 칠곡보를 뺀 나머지 6개 보 구간에서 모두 2주 연속 물 1㎖에 1000개체를 넘었다. 특히 달성보 구간 물속의 남조류 개체수는 지난 8일 7만4725개에서 지난 12일 26만3805개로 급증하며 4대강 사업 이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지금까지 달성보의 남조류 최고 기록은 2014년 6월23일 측정됐던 21만1128개였다.
이에 따라 취수장이 있는 강정고령보와 창녕함안보에는 조류경보가, 달성보와 구미보에는 조류경보제보다 완화된 기준의 조류예보제 관심 단계가 발령돼 있는 상태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가뭄과 높은 기온으로 인한 수온 상승 등 남조류 증식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돼, 최근 발생한 녹조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직 경보가 발령되지 않았으나, 금강에도 녹조가 발생했다. 백제보에선 지난달 8일과 29일 조류경보 관심단계 수준의 남조류가 발견됐다. 금강물을 끌어다 쓰는 보령댐은 지난달 17일부터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된 상태이다. 영산강 죽산보에도 지난 8일 수질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됐다 13일 해제됐다. 강천·여주·이포 등 3개 보가 설치된 남한강에선 아직 녹조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16일 보도자료를 내어, 서울 한강 홍제천 합류부에서 올해 첫 한강 녹조 발생을 확인했고 녹조가 성산대교 아래 한강 본류로 확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시개방에도 녹조가 확산되고 있는 주원인으로 환경부는 가뭄에 의한 유량과 유속 저하를 꼽았다. 조석훈 환경부 수질관리과장은 “올해 녹조가 출현시기가 늦은 반면 상승폭이 가파른 것은 낙동강 보 주변의 올해 강수량이 이전 4년 평균치의 60% 수준일 정도로 심한 가뭄의 영향으로 추정된다”며 “지역별 취·정수장과 협조해 안전한 먹는 물 공급에는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 지시로 지난 1일 4대강에 있는 16개 보 가운데 6개 보의 수문을 125~20㎝ 열었지만, 이것으로는 여름마다 발생하는 녹조현상을 막을 수 없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일부 수문 개방 조처는 강물 높이를 조금 낮췄을 뿐 여전히 ‘흐르는 강’이 아니라 ‘고여서 썩는 강’ 상태는 변함없기 때문이다. 낙동강권 환경운동단체 모임인 ‘낙동강 네트워크’의 임희자 집행위원장은 “정부가 4대강 일부 보 수문을 개방한다고 했지만, 결과는 강물 높이만 조금 내려갔을 뿐 다시 물이 고여 있는 상태로 되돌아갔다. 16개 보 모두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으면 녹조현상을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국적인 초여름 가뭄도 당분간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충남 서부지역 식수원인 보령댐의 이날 저수율은 9.3%에 그쳤다. 예년의 28.3% 수준이다. 여기에 녹조까지 발생하자 환경단체들은 금강 백제보에서 보령댐으로 물을 공급하는 도수로의 운영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금강의 녹조를 보령댐에 공급하는 상황을 해소하라는 것이다. 전라북도는 이날 바닷가에 인접한 전북 고창군 상하·해리면 지역에서 물 부족으로 소금기가 올라오는 염해로 논 3㏊를 포함해 17㏊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김정수 선임 기자,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전국종합
한강에서 발생한 녹조를 음료수 컵에 담은 ‘녹조라떼’ . 서울환경운동연합 제공
서울 홍제천교 아래 녹조. 서울환경운동연합 제공
서울 성산대교 북쪽 아래 한강에 녹조 띠가 선명하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제공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