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노숙인과 외국인 노동자 등 집중 관리”
올해 경기도 전국 환자의 21.2%로 높아
올해 경기도 전국 환자의 21.2%로 높아
경기도가 인구 10만 명당 55명 수준인 결핵 환자 발생률을 올해 50명으로 줄인다.
경기도는 2일 올해 결핵 발생률을 2015년 기준 도민 10만 명당 55명에서 10% 낮추고 2020년에는 10만 명당 44명인 20% 감소를 목표로 결핵 퇴치사업을 한다고 밝혔다. 사업비는 지난해 61억원에 견줘 35억원 늘어난 96억원으로 결핵 퇴치사업을 한 이래 역대 최대 규모다.
경기도가 결핵 환자 줄이기에 나선 것은 높은 인구밀집도, 외국인 유입 증가 등으로 결핵 신환자가 꾸준히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경기도의 결핵 신환자는 2011년 7761명, 2013년 7523명, 2015년 6782명, 2016년 6577명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지난해 기준 전국 환자 3만892명의 21.2%를 차지하는 등 발생 비율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도는 이에 따라 노숙인과 65살 이상 고령자 등 취약계층과 고위험군에 대해 결핵 검진을 실시하고 잠복 결핵을 관리하는 등 지역사회 결핵 확산을 방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노숙인,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동검진과 집단검진을 한다. 총 검진대상은 46만9600명으로 지난해 검진한 41만7997명에 견줘 5만 명 이상 늘었다. 또 한 집단에서 결핵 환자가 6개월 이내 2명 이상 발생한 경우에는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을 중심으로 한 집단검진도 이뤄진다.
해외유입 결핵 관리를 위해 중국, 스리랑카, 러시아 등 결핵 고위험국 18개국 출신의 외국인의 경우 보건소에서 결핵 진단과 치료를 실시한다. 해당 국가 외국인은 입국 전 결핵 진단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며 입국 후에는 체류연장, 체류자격 변경 시 결핵 확인서를 내야 한다.
조정옥 경기도 감염병관리과장은 “결핵이 사회활동이 활발한 20~60대와 70세 이상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집단시설에서 증가추세를 보이는 점을 살펴 효과적인 결핵 퇴치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