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종각·여의도·신논현역 등 57개 지하철역 이름도 돈을 받고 판매한다. 서울시는 지하철 역명 병기 유상판매 사업을 57곳으로 확대한다고 15일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초 ‘홍제(서울문화예술대)’처럼 기존 지하철 역명 옆에 병기하는 이름을 돈을 받고 판매하는 사업을 시작해 현재 을지로입구·방배·압구정·명동·강동·서대문·청담·단대오거리·홍제 등 9개 지하철역에서 시범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사업을 확대하는 역은 1∼4호선 종각·신림·신촌·아현·역삼·사당 등 23곳, 5∼8호선 여의도·여의나루·고속터미널·가산디지털단지 등 20곳, 9호선 국회의사당·신논현 등 4곳이다. 내년 7월 개통 예정인 우이-신설선 10개 역 이름도 판매한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역별 판매 가격을 산출해 내년 1월 입찰을 실시, 사업자를 선정한다. 노선도, 표지판 등을 정비해 내년 4월 역 이름을 병기할 계획이다. 사업자로 선정되면 역사 내 기둥, 출입구, 승강장, 안전문 역명판, 노선도, 안내방송 등에 이름을 알릴 수 있다. 시설물 교체 비용은 사업자가 부담해야 한다.
역명심의위원회가 정한 기준에 따라 적합 여부를 판단해 공공의 이미지를 훼손하거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기업·기관은 배제한다. 역에서 500m 안에 있는 기관명이나 지명이어야 한다. 500m 이내 기관이 없으면 범위를 1㎞ 이내로 확대할 수 있다. 1개 역에 1개 기관 명칭만 병기할 수 있으며 계약 기간은 3년이 원칙이지만 1차례 연장할 수 있다.
서울시는 현재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인 9개 역의 이름을 병기해 23억6천만원의 신규 수익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57개 역으로 확대해 3년 동안 총 173억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역명 유상병기 사업은 시민이나 역 주변의 기관, 지하철 운영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이라며 “시민 편의와 공공성을 최우선 고려해 투명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