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2015~2017년 연평균 5조6천억 지출
지방재정은 연평균 2조5천억 확충에 그쳐
김정우 의원 “지자체 재정자립도·자주도 하락”
지방재정은 연평균 2조5천억 확충에 그쳐
김정우 의원 “지자체 재정자립도·자주도 하락”
박근혜 대통령 공약을 이행하느라 지방정부의 지출은 연평균 5조원 넘게 늘어났지만 확충된 예산은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행정자치부와 기획재정부 자료를 분석해보니 공약 이행으로 인한 지출은 연평균 5조6천억원인데, 확충된 지방재정은 2조5천억원에 불과하다”고 12일 밝혔다. 2013년 말 기획재정부와 행정자치부(당시 안전행정부)는 ‘지방재정 확충 및 건전성 강화’라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에 따라 ‘중앙-지방 기능 재원 조정방안’을 마련했다. 지방소비세율을 5%에서 11%로 높이고, 보육비 국고보조율을 15%포인트 올리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이 대책으로 지난해 6조원, 올해 6조4천억원, 내년 6조5천억원의 지방재정을 확충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정부가 지자체의 가장 큰 수입원인 취득세를 감면하고, 분권교부세로 수행하던 4개 사업을 지방에 떠넘긴 점을 고려하면 실제 효과는 지난해 2조3천억원, 올해 2조6천억원, 내년 2조7천억원에 그친다”고 반박했다. 이 정도 예산확충으로는 박 대통령의 공약인 기초연금 도입, 기초생활보장제도 개별급여 전환, 장애인 연금 확대 등을 수행하는 데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들 사업으로 늘어난 지출이 지난해 5조4천억원, 올해 5조6천억원, 내년 5조9천억원에 달한다는 게 김 의원 주장이다.
김 의원은 “2015~2017년 3년 동안 지방재정은 연평균 2조5천억원 늘어나는데,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행으로 인한 지출만 연평균 5조6천억원이라 지자체 형편이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방정부의 재정지표는 일제히 나빠졌다. 중앙정부가 주는 교부세를 빼고 계산한 지자체 재정자립도는 2012년 52.3%에서 지난해 45.1%로 7.2%포인트 하락했고, 교부세를 포함한 재정자주도도 2012년 77.2%에서 지난해 68.0%로 떨어졌다. 반면 지방정부의 재정지출에서 사회복지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8%에서 27.0%로 크게 늘어났다.
김 의원은 “박근혜 정부가 국정과제인 ‘지방재정 확충 및 건전성 강화’를 위해 노력은 했지만 성과는 너무나도 미흡하다는 것이 입증됐다. 공약 등으로 인한 지출 규모를 고려하면 재정확충이 훨씬 못 미치기 때문이다. 정부는 2009년 지방소비세율을 16%까지 올리겠다던 약속을 이행하고, 고소득층과 슈퍼 대기업에 대한 증세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