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8일 오후 정부에 의해 중단된 청년활동비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박근혜 대통령 면담 요청 등을 밝히기 위해 서울 중구 서울시청 브리핑룸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8일 ‘청년경제아카데미’ 강연서
9일 청와대, 박 시장 면담 요청 거부
9일 청와대, 박 시장 면담 요청 거부
박원순 서울시장이 청년수당 사업을 주제로 요청한 대통령 면담을 9일 청와대가 거부했다. 이에 따라 결국 청년수당 문제는 사법부 손에 맡겨지게 됐다.
청와대는 9일 정연국 대변인을 통해 “그 사안은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간에 협의할 사안”이라며 박 시장의 면담 요청을 거부했다. 서울시는 복지부의 청년수당 사업에 대한 직권취소가 정당한지 가리기 위한 대법원 제소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제소 시한은 19일이다.
앞서, 박 시장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복지부가 직권취소한 청년수당 사업이) 서울시와 복지부가 풀 수 있는 수준을 넘었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정책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할 기회를 달라고 제안한 바 있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년과 더불어 경제 아카데미’에서 강연한 뒤 ‘대통령이 답이 없으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럴 리가 있느냐. 대통령과 서울시장이 법정에서 싸우면 (국민들이) 납득 안 가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는 이 강연에서 “청년수당은 돈의 문제가 아니고 미래를 준비할 최소한의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절박한 사람한테는 생명수와 다름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당장 굶어 죽어가는 사람한텐 일단 고기를 줘야한다. (그들이) 지금 고기 잡는 법 강의를 듣게 생겼느냐”고도 말했다. 이는 지난 4일 청와대 대변인 출신의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이 “물고기를 주기만 하는 데 급급할 게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줘야 한다”고 비판한 데 대한 응수다.
박 시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께선 40조원을 강바닥에 쏟으셨다. 그 돈을 청년에 투자했으면 공짜 등록금에, 대입 기념으로 아파트도 한 채씩 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