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가 8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사드 한반도 배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사드 배치 결정이 전국을 들쑤셔놨다. 수도권에서 부산에 이르기까지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는 곳들은 시민단체들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지방의회 등까지 “절대 안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지역·단체간 연대를 통한 범국민적인 사드 반대 운동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8일 성명을 발표해 “사드 배치가 국가안보 차원에서 피할 수 없는 결정이었다는 점을 이해한다”면서도 “그러나 칠곡 배치설에 대해 다시 한 번 매우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일방적으로 부지를 결정한다면 대구·경북 시도민들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들로 꾸려진 ‘사드배치 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공동대표 김찬수)는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경북 칠곡 왜관에 사드를 배치하는 것을 반대한다.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결정 자체를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백선기 칠곡군수와 조기석 칠곡군의회 의장 등은 9일 ‘사드 반대 범군민 궐기대회’를 열기로 했다.
경기 평택지역 25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사드배치 반대 평택대책위원회(준)’도 성명을 내어 “사드 배치는 미국과 일본을 지켜주기 위한 미·일 미사일 방어 전초기지가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어디에도 배치해선 안 된다”고 반발했다. 대책위는 20일 평택역에서 ‘사드 반대 평택시민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공재광 평택시장은 “그동안 평택시민들이 미군기지 이전 등 국가 정책에 많은 희생을 감수해 온 과정 등을 고려해 앞으로 더는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옛 미군기지 캠프롱 터가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강원 원주에선 시민은 물론 원주시와 시의회까지 ‘사드 반대 결사대’를 자처하고 있다. ‘사드 원주배치 반대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 현원섭 공동대표는 “4만6000여명의 주민들이 살고 있는 캠프롱 주변에 사드가 들어오면 전자파 때문에 주민들이 생존의 터를 떠나거나 건강을 위협 당하는 참사가 발생할 것이다. 국익을 빌미로 일방적으로 강요하던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
8일 부산 연제구 미국영사관 앞에서 ‘부산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이 사드 한국 배치 결정 철회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부산평통사 제공
충북 음성지역의 ‘사드배치 반대 음성군대책위원회’ 여용주 상임대표는 “국회 등의 공론화를 거쳐 필요성이 인정된다 해도, 주민 곁에 배치해 불안을 조성할 게 아니라 전략적으로 무인도 등에 배치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다른 지역 대책위와 사드 반대 연대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은 최근 지역 안에 주둔하고 있는 미사일연합사령부가 부대 주변 땅 매입에 나서자 사드 배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산도 들썩이고 있다. ‘부산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은 성명을 내어 “부산 기장군 등 사드 배치 예상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을 무시하고 미국의 요구에 굴복한 정부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 당장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연제구 미국영사관 앞에서 사드 한국 배치 철회를 요구하는 1인 시위에 나섰다. 기장군과 기장군의회도 사드 반대 입장을 정리했다.
전북 군산도 미공군기지가 있어 후보지로 거론된다. 오택림 전북도 기획관은 “군산에 배치하면 중국을 더 자극할 수 있어 전략적으로 한반도 서쪽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구·평택·원주·음성·부산·전주/김일우·김기성·박수혁·오윤주·김영동·박임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