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5개 시군 통합구 나올수도
경북 “수도권-지역 불균형 가속”
전남 “주민 의견 반영 안돼” 반발
경북 “수도권-지역 불균형 가속”
전남 “주민 의견 반영 안돼” 반발
여야가 합의한 4·13총선 선거구 획정 기준에 따라 경북과 강원, 호남 등 농어촌 지역의 국회의원 수가 줄어들게 됐다. 강원 지역은 5개 시·군이 국회의원 1명을 뽑는 ‘공룡 선거구’ 탄생 가능성과 영동 북부 지역 선거구 해체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총선 거부’까지 거론되는 등 반발이 거세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거구 2곳이 줄어들게 된 경북은 날벼락을 맞은 분위기다.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은 23일 “전체 인구나 면적 기준으로 봐도 왜 경북만 두 석이 줄어들었는지 도민들이 이해를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도 논평을 내어 “경북의 국회의원 의석수가 2석이 줄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이 가속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11석에서 10석으로 1석이 줄어들게 된 전남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선거구의 통합이 예상되는 강진·곡성·장흥·영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크다. 이석하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 사무처장은 “선거구 조정에 지역 주민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아 불만스럽다”고 말했다.
9석에서 8석으로 의석수가 1석 줄어들게 된 강원도는 5개 시·군이 합쳐진 ‘공룡 선거구’가 나올 가능성이 커졌다. 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이 하나로 묶이면 면적만 6630㎢이다. 국회의원이 48명인 서울(605㎢)보다 10배 이상 넓은 곳에서 국회의원 1명을 선출하는 셈이다. 우강호 평창군번영회장은 “이번 여야 합의로 농어촌 황폐화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거구가 해체될 가능성이 큰 속초·고성·양양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다. 고성이 철원·화천·양구·인제 선거구에 붙고, 속초·양양은 홍천·횡성과 합해지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윤광훈 속초시번영회장은 “속초·고성·양양은 영동 북부지역으로 동일한 정서와 문화를 갖고 있다. 그런데 고성을 영서지역인 철원 선거구에 붙이고 속초·양양도 영서지역인 홍천 등과 묶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속초·고성·양양을 갈라 영서지역과 합한다면 총선 거부 운동을 펴겠다”고 말했다.
평창 대구 강진/박수혁 김일우 안관옥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