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지역사회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수원시민모임’은 22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하는 것은 역사 정의의 관점에서나 민주주의 성숙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비춰서도 도무지 용납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역사 속 독립운동·민주주의 투쟁 기록 축소·왜곡 행태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 모임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시민 서명 등 지역 시민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교과서 문제에 대해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원시민모임에는 광복회 수원시지회를 비롯해 경기르네상스포럼, 수원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수원그린트러스트, 수원대승원 등 37개 수원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했다.
광복회 수원시지회 임남규 지회장은 “한국사 국정화는 역사교육이 정권의 당위성과 선전용으로 이용되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사 교과서가 바뀌는 우를 범하는 일이다”고 말했다.
민주주의와 민생,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한 강원연석회의도 22일 성명을 내어 정부에 “친일·독재를 미화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강원연석회의에는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등 강원지역 6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강원연석회의는 성명에서 “역사교육은 정권에 의해 규정되는 개념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다양하고 새로운 해석 속에서 미래를 전망하는 과정이다. 박근혜 정권은 2013년 친일 교과서인 교학사 교과서가 국민들에게 철저히 외면받았음을 기억하고 학생들에게 정권의 입맛에 맞는 역사만 가르치겠다는 오만함을 당장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와 학부·대학원생 전원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교원 양성 기관이자 현직 교사들의 연수기관 역할을 하는 한국교원대에서 교수와 학생들이 정부의 교육정책에 드러내놓고 반기를 든 이례적 사건이다.
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8명 전원과 학생 일동은 22일 “우리는 역사교육을 책임진 교수, 교사, 예비교사로서 민주적이고, 비판적이며, 창의적인 역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을 다짐한다”며 “정부는 역사교육에 대한 부당한 개입을 중단하고 역사교육 담당자와 시민사회의 여론을 겸허히 수용하여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압도적인 여론의 반대에도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강행하려는 정부의 입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바람직한 역사교육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입장을 밝힌다”는 취지도 덧붙였다.
수원·춘천/홍용덕 박수혁 기자, 전정윤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