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경기도 제공
광교 신청사 옆 500가구 48층아파트
공동시행 수원·용인시와 조율 안해
“막개발” 반발하자 “고집 않는다”
공동시행 수원·용인시와 조율 안해
“막개발” 반발하자 “고집 않는다”
경기도의 신청사 이전 계획에 대해 수원시가 광교 새도시의 인구 과밀화 등 막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는 광교 새도시 공동 사업시행자인 수원시와 사전 협의도 없이 도청 이전을 밀어붙이다 수원시가 반발하자 뒤늦게 이전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혀 ‘주먹구구식 사업 추진’이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1일 경기도와 수원시의 말을 종합하면, 남경필 경기지사는 지난 7월30일 수원 팔달산 기슭에 있는 도청사를 2020년까지 광교 새도시로 옮기는 ‘도청 이전 로드맵’을 발표했다. 광교 새도시 내 신청사 터 12만㎡(사진) 가운데 3만3000㎡에 도의회와 도 청사, 학교 등을 짓고, 나머지 2만6000㎡에 48층 500가구에 이르는 주상복합아파트 등을 유치하는 게 뼈대다. 신청사 이전 터의 용도를 바꿔 주상복합아파트를 개발해 이전비 5600억원 가운데 1500억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수원시는 경기도가 표방한 ‘광교 명품 새도시’를 훼손하는 ‘막개발 계획’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경기도의 광교 새도시 조성 계획은 지금까지 16차례나 바뀌었다. 경기도는 2005년 수원시 팔달구 연무동 등 1127만㎡에 2만4000가구 6만명을 수용하는 새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나섰지만, 계획이 16차례 바뀌면서 현재는 수용 인원이 3만1113가구 7만783명으로 늘었다. 특히 오피스텔을 마구 허용하면서 입주 완료 때 실제 인구는 이보다 4만여명 많은 11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일부 주민들은 ‘경기도가 기획 부동산이냐’며 반발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이미 과밀 개발이 예상되는데 경기도가 나서서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등 스스로 명품 도시를 허물고 있다. 학교 과밀, 교통난 등 주민 피해가 우려되니 원안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경기도는 신청사 이전 계획을 마련하면서 공동 사업시행자인 수원시, 용인시 등과 사전 의견교환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는 사업 계획 발표 뒤 박수영 행정1부지사가 나서서 광교 새도시 동별로 주민 설명회를 여는 등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수원시의 반발이 거세자 경기도는 뒤늦게 “48층 주상복합건물을 고집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계획 변경을 시사하는 한편, 사전 협의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수원시에 사과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1200만명을 관할하는 경기도의 도청 이전사업이 이렇게 주먹구구식일 수 있느냐”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