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근서 도의원, 객관적 조사 촉구
“합동조사때 정부 실험실 안들어가
미군 설명만 듣고 ‘안전하다’ 발표”
“합동조사때 정부 실험실 안들어가
미군 설명만 듣고 ‘안전하다’ 발표”
“탄저균 실험이 경기도 한복판에서 이뤄지는데 왜 남경필 지사는 침묵하나?”
경기도의회 양근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안산6)은 7일 경기도의회 제300회 임시회에서 “미군의 탄저균 실험으로부터 경기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객관적 재조사와 경기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지난 5월27일 주한미군이 한 연구소로부터 ‘탄저균이 살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락을 받고 자체 보유하던 탄저균 샘플을 폐기했다는 정도다. 그러나 양 의원은 “질병관리본부에 확인한 결과, 정부는 탄저균 반입을 몰랐다는 설명과 달리 국방부와 보건복지부가 주한미군 오산기지에서 6월5일 예정됐던 탄저균 식별기인 신규 유전자 분석장비 시연회에 초청받았다”며 정부의 사전 인지 가능성을 제기했다.
양 의원은 또 “정부는 5월28일 합동조사 때 오산기지 내 사고 현장의 지하 실험실에는 들어가지도 않은 채 미군의 일방적 설명만 듣고 생물안전도(BSL) 레벨 2급의 실험실이라 발표했는데, 안전성 의문은 물론 정부가 직접 확인하지 않는 것은 직무 유기”라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 한복판에서 메르스보다 무서운 탄저균 실험이 이처럼 버젓이 이뤄져도 경기도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도민들의 생명은 안중에 없는가”라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탄저균과 관련해서는 통보받은 바도, 아는 바도 없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