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이슈 실종
정부정책 심판론도 쟁점도 흐릿
“후보 인지도가 판세 좌우” 전망
정부정책 심판론도 쟁점도 흐릿
“후보 인지도가 판세 좌우” 전망
6·4 지방선거의 선거운동이 본격화했지만, 교육감 선거 분위기는 좀처럼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 세월호 참사 뒤 각 후보들이 ‘조용한 선거운동’을 펴고 있고, 후보 간 정책 쟁점이 뚜렷하지 않은데다 유권자들이 선거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2010년 전국 단위의 첫 주민 직선 교육감 선거 때, 무상급식과 혁신학교 같은 교육정책을 놓고 보수와 진보 후보들이 맞서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감을 뽑는 이번 선거에서는 모두 72명의 후보자가 등록했다. 4.2 대 1의 경쟁률로, 74명이 등록한 2010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경쟁률로는 각각 7명의 후보가 나선 경기도와 부산시가 가장 높고 각각 3명의 후보만 등록한 대구·강원·전남·경북·경남 등 5곳은 상대적으로 낮다.
2010년 선거 때는 자율형 사립고와 일제고사 등 학교 간 서열화와 경쟁을 부추기는 교육정책을 도입했던 이명박 정권을 심판하자는 ‘반엠비(MB)’ 심리가 강했다. 하지만 ‘꿈과 끼를 기르는 행복 교육’을 내건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진보 후보들이 선명한 대립각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대표 교육정책인 자유학기제는 아직 시범운영 단계다. 자율형 사립고는 평가를 거친 뒤 기준에 못 미치는 학교는 일반고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일제고사를 초등학교에선 폐지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② 깜깜이 선거
유권자 절반이상 “후보 모른다”
세월호 정국 묻혀 지지율 고전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후보의 정책보좌관인 이범 교육평론가는 “학교가 안전조치를 제대로 못해서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고 보기는 어려워, 후보들이 안전 공약을 내놓아도 크게 주목을 끌지 못한다. 이번 선거는 인물에 대한 인지도나 해당 지역 시장·도지사 후보의 영향이 판세를 상당히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교육감 후보별 지지율이 30%를 넘은 곳은 서울·대구시와 강원도 등 6~8곳에 불과하다. 경기도 등 나머지 9~11곳은 10% 초반대에 머물고 있다. 유권자의 50~60%는 ‘교육감 후보가 누군지 모른다’고 답했다. 이런 ‘깜깜이 선거’ 속에서 보수 및 진보·개혁 진영 간의 후보 단일화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진보·개혁 진영은 서울 조희연(57·성공회대 교수) 후보를 비롯해, 부산 김석준(57·부산대 교수), 경기 이재정(70·전 통일부 장관), 충남 김지철(62·교육의원), 충북 김병우(56·전 충북교육발전소 대표), 대구 정만진(58·전 교육위원) 후보 등 13곳에서 단일화에 성공했다. 지지율 상승 효과도 보고 있다. 보수·중도 진영도 일찌감치 ‘대한민국 올바른 교육감 추대 전국회의’에서 김선배(62·전 춘천교대 총장) 강원도교육감 후보 등 10명을 보수 단일후보로 선정했지만, 실제 보수 후보가 단독 출마한 곳은 강원 외에 경남 고영진(67·경남도교육감), 전북 유홍렬(72·전 도교육위 의장) 후보 등 3곳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부산의 경우 6명, 경기 4명 등 지역별로 3~6명의 후보가 출마한 상태다. ③ 후보 단일화
진보, 17곳중 13곳 단일화 성공
보수 난립 속 ‘색깔론’ 다시 고개 유권자 과반수가 교육감 후보가 누군지 모르는 상황에서 보수·진보 진영 간의 경쟁이 치열할수록 보수·진보 가릴 것 없이 광역단체장 선거에 기댄 ‘얹혀가기 선거전략’도 노골화하고 있다. 6명의 보수 후보가 나온 부산시에서는 박맹언(61·전 부경대 총장) 후보가 자신의 선거홍보 앱 안내화면에 새누리당 명칭과 로고를 사용하다 상대 후보 3명으로부터 부산시선관위에 고발됐다. 세종시에서는 홍순승(59·전 연기교육장) 후보가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유한식 새누리당 세종시장 후보와의 술자리에서 “우리 시장님 당선을 측면에서 돕겠다. 저도 많이 도와 달라”고 말했다가 세종시선관위에 의해 검찰에 고발됐다. 선거운동이 본격화하면서 해묵은 ‘색깔론’이 다시 고개를 드는 등 정책 대결 선거와는 점점 멀어지는 모습도 나타난다. 2012년 재선거에서 전교조를 맹비난했다가 당선 뒤 사과했던 문용린(66) 서울시교육감 후보는 이번에도 전교조를 종북단체로 지목하는 등 색깔론을 들고나왔다. 조전혁(53·전 새누리당 의원) 경기도교육감 후보는 “전교조의 계기수업을 금지하고 어기면 의법 조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교육학과)는 “국민들이 세월호 사고 이후 정치에 염증이 난 상태다. 이럴 때일수록 후보들이 서로 대립하기보다는 더 좋은 안전 정책, 교사들의 기를 살려주는 정책을 내놓기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 추모 분위기로 자신들을 알릴 기회가 적었던 후보들은 선거운동을 차분하게 한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방송 토론회를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 선거본부의 이상수 대변인은 “선관위와 다른 후보자들에게 한차례밖에 없는 텔레비전 토론을 세차례로 늘려 정책선거로 가자는 제안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수원 부산 세종/홍용덕 김광수 전진식 기자 watchdog@hani.co.kr
유권자 절반이상 “후보 모른다”
세월호 정국 묻혀 지지율 고전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후보의 정책보좌관인 이범 교육평론가는 “학교가 안전조치를 제대로 못해서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다고 보기는 어려워, 후보들이 안전 공약을 내놓아도 크게 주목을 끌지 못한다. 이번 선거는 인물에 대한 인지도나 해당 지역 시장·도지사 후보의 영향이 판세를 상당히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교육감 후보별 지지율이 30%를 넘은 곳은 서울·대구시와 강원도 등 6~8곳에 불과하다. 경기도 등 나머지 9~11곳은 10% 초반대에 머물고 있다. 유권자의 50~60%는 ‘교육감 후보가 누군지 모른다’고 답했다. 이런 ‘깜깜이 선거’ 속에서 보수 및 진보·개혁 진영 간의 후보 단일화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진보·개혁 진영은 서울 조희연(57·성공회대 교수) 후보를 비롯해, 부산 김석준(57·부산대 교수), 경기 이재정(70·전 통일부 장관), 충남 김지철(62·교육의원), 충북 김병우(56·전 충북교육발전소 대표), 대구 정만진(58·전 교육위원) 후보 등 13곳에서 단일화에 성공했다. 지지율 상승 효과도 보고 있다. 보수·중도 진영도 일찌감치 ‘대한민국 올바른 교육감 추대 전국회의’에서 김선배(62·전 춘천교대 총장) 강원도교육감 후보 등 10명을 보수 단일후보로 선정했지만, 실제 보수 후보가 단독 출마한 곳은 강원 외에 경남 고영진(67·경남도교육감), 전북 유홍렬(72·전 도교육위 의장) 후보 등 3곳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부산의 경우 6명, 경기 4명 등 지역별로 3~6명의 후보가 출마한 상태다. ③ 후보 단일화
진보, 17곳중 13곳 단일화 성공
보수 난립 속 ‘색깔론’ 다시 고개 유권자 과반수가 교육감 후보가 누군지 모르는 상황에서 보수·진보 진영 간의 경쟁이 치열할수록 보수·진보 가릴 것 없이 광역단체장 선거에 기댄 ‘얹혀가기 선거전략’도 노골화하고 있다. 6명의 보수 후보가 나온 부산시에서는 박맹언(61·전 부경대 총장) 후보가 자신의 선거홍보 앱 안내화면에 새누리당 명칭과 로고를 사용하다 상대 후보 3명으로부터 부산시선관위에 고발됐다. 세종시에서는 홍순승(59·전 연기교육장) 후보가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유한식 새누리당 세종시장 후보와의 술자리에서 “우리 시장님 당선을 측면에서 돕겠다. 저도 많이 도와 달라”고 말했다가 세종시선관위에 의해 검찰에 고발됐다. 선거운동이 본격화하면서 해묵은 ‘색깔론’이 다시 고개를 드는 등 정책 대결 선거와는 점점 멀어지는 모습도 나타난다. 2012년 재선거에서 전교조를 맹비난했다가 당선 뒤 사과했던 문용린(66) 서울시교육감 후보는 이번에도 전교조를 종북단체로 지목하는 등 색깔론을 들고나왔다. 조전혁(53·전 새누리당 의원) 경기도교육감 후보는 “전교조의 계기수업을 금지하고 어기면 의법 조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교육학과)는 “국민들이 세월호 사고 이후 정치에 염증이 난 상태다. 이럴 때일수록 후보들이 서로 대립하기보다는 더 좋은 안전 정책, 교사들의 기를 살려주는 정책을 내놓기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세월호 사고 추모 분위기로 자신들을 알릴 기회가 적었던 후보들은 선거운동을 차분하게 한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방송 토론회를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 선거본부의 이상수 대변인은 “선관위와 다른 후보자들에게 한차례밖에 없는 텔레비전 토론을 세차례로 늘려 정책선거로 가자는 제안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수원 부산 세종/홍용덕 김광수 전진식 기자 watchd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