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객 여섯명이 경북 구미시 상모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찾았다. 5m 높이의 박 전 대통령의 동상은 생각보다 컸다. 가까이 다가가니 머리가 동상의 무릎 관절 근처에 닿을락 말락 했다. 동상이 왼발을 내딛고 있어 마치 동상이 걸어오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구미/김태형 기자xogud555@hani.co.k
당진 지역 인사들, 10억 모아 박정희 동상 건립 움직임
반대 대책위, “권력에 아부하려는 기회주의적 행동”
반대 대책위, “권력에 아부하려는 기회주의적 행동”
“삽교천 방조제를 건설해 살기 좋은 당진이 됐으니 박정희 대통령의 동상을 건립한다고요? 그런 식이라면 서해대교 건설한 노태우 전 대통령이나 당진항을 지정한 노무현 전 대통령, 당진을 군에서 시로 승격시킨 이명박 전 대통령 동상도 건립해야 한다는 말입니까? 석문방조제와 대호방조제를 건설한 전두환·김영삼 전 대통령 동상도 있어야겠네요.”
충남 당진 지역 일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박정희 동상’ 건립 움직임을 두고 시민사회단체·정당들이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당진환경운동연합·당진참여연대를 비롯해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당 등이 모인 ‘박정희 동상 건립 저지 당진시 대책위원회’(가칭)는 9일 당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반역사적인 박정희 동상 건립을 저지하기 위해 연대 대책기구를 구성하고 끝까지 투쟁해 반드시 백지화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진시에 대해서도 박정희 동상 건립을 위한 예산 수립이나 시유지 지원을 거부할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현직 대통령의 아버지 동상을 굳이 이 시기에 건립하려는 것은 살아 있는 권력에 아부하려는 속이 뻔히 보이는 아첨꾼의 기회주의적 행동이다. 북한의 대형 김일성 동상에 투영된 개인 숭배를 비판하면서도 박정희 동상을 아무렇지도 않게 세우며 신격화하려는 행동은 자기모순이다”라고 지적했다.
지역 일부 인사들이 모인 ‘박정희 대통령 추모회’는 해마다 10월26일 추모제를 열었으며, 지난달 10일 추진위원회를 꾸리고 동상 건립 뜻을 밝혔다. 이들은 동상 건립에 동의하는 시민·단체들한테서 기금 10억원을 적립해 내년까지 높이 5m짜리 동상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경북 구미시는 2011년 12억원(국비 6억원 포함)을 들여 높이 5m에 이르는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박 전 대통령 생가 근처에 세웠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