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 파업이 9일째로 접어들며 전국 여객·화물열차와 수도권 일부 전철이 감축 운행한 17일, 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의 노사가 임단협 개정을 두고 막바지 협상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해 밤 늦게까지 진통을 겪었다.
서울메트로의 노조는 협상이 깨지면 18일 오전 9시 전면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했으나, 서울시가 정원 대비 91% 인력을 투입해 당분간은 평소대로 운행하겠다고 밝혔다. 철도노조와 서울지하철노조의 동반 파업이 길어질 경우, 시민들의 교통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이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꾸리고, 노조 파업 땐 공익사업장 필수유지인력과 퇴직자, 협력업체 직원 등까지 정원 대비 90.9%의 인력을 확보해 일주일 동안 서울메트로 운영 구간에선 운행시간과 횟수, 배차간격을 평소처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파업이 8일째로 접어들면 10%가량, 15일 이상 지속되면 30% 감축 운행이 불가피해, 지하철 5~9호선 40회 증편 운행, 개인택시 부제 해제 등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산하 공기업인 서울메트로와 노조 쪽은 △퇴직금 누진제 폐지에 따른 보상 △정년 연장 회복(58살→60살) △승진 적체 해소 등 쟁점을 놓고 16일 밤샘 협상을 벌인 데 이어 17일에도 밤 늦게까지 협상을 벌였다. 협상이 결렬되면 서울메트로 두 노조인 서울지하철노조(민주노총 소속)와 서울메트로지하철노조(국민노총 소속)가 18일 오전 9시 전면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노사는 세 가지 쟁점을 풀어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이 막판까지 난항을 겪었다.
핵심 쟁점은 퇴직금 삭감에 따른 보전방안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서울시 노사정모델협의회가 제시한 대로 적정한 보상을 이행하라”고 압박했다. 서울시 노사정모델협의회는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지하철 5~8호선), 서울시설공단, 에스에이치(SH)공사, 서울농수산물식품공사, 서울의료원 등 서울시 산하 투자·출연기관 6곳의 노사정 협의체다.
노조 쪽 교섭 대표인 서울지하철노조 관계자는 “복지포인트 증액, 교통보조비의 기본급화 등에는 두 쪽 의견이 접근했다. 그러나 급식 보조비 증액을 놓고는 견해차가 컸다”고 말했다. 회사 쪽은 정부의 공기업에 대한 총액임금제 등을 내세워 임금성 항목을 늘리는 것에 난색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 58살인 정년을 60살로 늘리는 쟁점을 놓고도 노조는 ‘일괄 연장’을 주장한 반면, 회사 쪽은 ‘단계적 연장’을 주장하며 맞섰다. 정태우 기자 windage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