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의 도시’ 브라질 쿠리치바시의 원통형 정거장에서 자전거 휠체어에 탄 승객이 혼자서 버스에 오르고 있다.
[한겨레 창간25돌] 도시의 미래를 보다
세계 각국 도시들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도심 공동화, 지역상권 침체, 일자리 축소 등이 격심해지면서 대안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지방정부가 한정된 예산·자원에 기대어 기업이나 단체를 지원하는 기존 접근법이 한계에 부닥치면서, 주민들이 전면에 나서 주도하고 이를 지방정부와 기업들이 뒷받침하는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을 통한 도시혁신 실험이 세계 각국에서 다각도로 펼쳐지고 있다.
사회혁신은 무엇보다 주거·일자리·교통·환경 등 공공의 이익과 직결된 숙제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주목된다.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에 맡겼으나 공공성을 뒷전에 두며 그늘을 남기는 사례들이 주요국에서도 쉽게 관측됐다. 영국 버밍엄 인근 캐슬베일에선 10층 고층아파트로 조성했던 주택단지가 슬럼가로 전락했다가, 주민들의 요구를 중시한 주택조합이 고층아파트를 허물고 나서야 생기를 되찾고 있었다.
브라질 쿠리치바시는 시민들의 이동권 보장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도로·터미널망을 운영하고 있다. 제한된 재정으로도 장애인도 마음 편히 버스를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야심찬 과제에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시는 사회혁신 부서를 시정부에서 운용하면서, 도심 빈터에 컨테이너를 가져다 놓고서 명소로 일궈낸 프로젝트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어당기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시는 도심이 텅텅 비어가자 도로를 막고 노점을 허용하면서 자동차가 아니라 사람들이 들끓게 하려는 실험에 나섰다. 대형 백화점에 질식하려는 지역 상가를 지역통화로 되살리려는 일본 지바, 실업자에게 동네 청소 등을 맡기며 재취업을 떠받치는 프랑스 파리도 공공의 가치를 지역공동체가 떠받치는 모습으로 읽힌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도전들이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다. 서울시는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서울혁신기획관을 신설하고 마을공동체 사업을 펼치겠다며 도시혁신에 나서고 있다. 서울 양천구 이펜하우스 주민들은 작은도서관에서 아파트 공동체 싹을 틔웠다. 충남 서천군은 어메니티(삶의 쾌적함)를 화두로 복지·생태도시를 꿈꾸며, 도농복합지역인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선 마을 복지공동체 실험이 한창이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도시혁신 현장을 소개했던 ‘도시혁신, 사회를 바꾸다’ 기획 연재(<한겨레> 2012년 9월18일~10월8일치)에 이어, 올해 세계 더욱 많은 도시들이 도시혁신 실험에 나선 현장을 취재했다. 한겨레신문사가 오는 10월30~31일 열 제4회 아시아 미래포럼은 기업과 사회의 혁신을 주제로 도시혁신을 집중 조명한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