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반값식당 1호점(예정)인 영등포 ‘저축식당’이 반값 품목에서 주류를 제외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이 식당은 당초 일용 노동자 등에게 환급해주기로 한 식대의 절반에 주류도 포함해 논란이 일었다. (▷ 서울 반값식당, 영등포에 1호점 들어선다)
시 핵심사업인 반값식당의 첫 시범사업지인 영등포시장역 쪽 저축식당은 고시원 생활자·저소득층 노동자 등을 주요 고객으로 삼는다. 이들에 한해 지불한 식대 절반을 분기마다 되돌려줌으로써 지역공동체 기반의 자활을 꾀한다는 취지다. 최대 100명 수용 규모로 오는 4~5월 문연다.
사업운영자로 선정된 이 지역 시민단체 ‘해보자모임’의 박철수 고문은 “주류는 환급 품목에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 노동자들이 (고된 노동으로) 식사만 하지 않아 술과 음료 등을 함께 할 경우도 전체 식대의 절반을 적립해준다는 계획이었으나 언론의 지적이 있어 조정했다”고 말했다. 서울시 자활지원팀도 “술을 팔긴 하되 제값을 받고 메뉴도 적립이 되는 것과 안되는 것을 구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시설비 1억5천여만원과 매달 720만원의 인건비·임대비를 이 식당에 지원하지만, 자체 식당 수익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지속 불가능하다. 해보자모임의 식당 운영안을 보면, 개점초 하루 목표고객은 환급대상자 40명과 일반인 40명으로 ‘절반 술값’도 수익의 주요 수단이 되었던 셈이다.
정무성 숭실대 교수(사회복지학·서울시 시민기획위원회 위원장)는 “기본 취지가 굶는 사람을 없앤다는 사업인데 기호식품까지 반값에 제공하는 건 납득할 수 없다”고, 남기철 동덕여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영등포시장 일대와 같은 상업지와 별도로, 향후 주거지에 들어설 반값식당은 마을공동체 구실이 크므로 주류 취급 자체가 안된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여당 국방자문’ 김병관, 연평도 포격 다음날 일본관광
■ 박 대통령 “잘못됐을 때 질책 받겠다…기회 달라”
■ 침통한 강동희 “물의 일으켜 죄송…검찰서 소명할 것”
■ 시형씨 결제한 12억 ‘MB 비자금’ 가능성
■ ℓ당 111㎞ ‘연비 끝판왕’ 차가 나타났다
■ [단독] ‘여당 국방자문’ 김병관, 연평도 포격 다음날 일본관광
■ 박 대통령 “잘못됐을 때 질책 받겠다…기회 달라”
■ 침통한 강동희 “물의 일으켜 죄송…검찰서 소명할 것”
■ 시형씨 결제한 12억 ‘MB 비자금’ 가능성
■ ℓ당 111㎞ ‘연비 끝판왕’ 차가 나타났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