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 입주뒤 조직개편 있어 또 이사 불가피…행정낭비 우려
서울시 새 청사에 다음달 1일부터 부서들이 이사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일부 부서는 입주 1~2주 뒤 조직개편에 따른 추가 이사가 불가피해 행정 낭비 우려도 제기된다.
서울시는 “이사업체를 공개입찰로 최근 선정했고, 9월 말까지 새 청사 입주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가장 먼저 다음달 1~2일 입주할 부서는 경제진흥실·복지건강실·주택정책실 등이다. 이들 부서는 대한상공회의소 등 외부 사무실을 9월까지 임대해 사용중이다. 서울시는 전체 24개 실·본부·국 130개 과(5005명) 가운데 새 청사에는 11개 실·본부·국 59개 과(2205명)를 9월 말까지 들인다는 계획이다. 이사비용이 7억원가량 소요되며, 이삿짐만 5t 트럭 880대분으로, 시청사에서 한강을 건너 여의도 초입까지 일렬로 줄을 설 수 있는 규모다.
시는 지난 1월 1단계 조직개편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시정핵심과제를 추진할 조직을 보강하는 2단계 조직개편안을 지난 5일 발표했다. 문제는 서울시 조직개편이 시의회 심의사항인데 시의회가 다음달에 열리기 때문에 9월 말이나 10월 초 관련 규칙 개정과 함께 조직개편안이 공포·시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입법예고 중인 조직개편안을 보면, 경제진흥실의 외국인생활지원과(4팀)·국제협력과(7팀), 주택정책실의 한옥문화과(4팀), 복지건강실의 공중위생과(5팀) 등은 폐지된다. 없어지는 과에 속한 100여명 가운데 일부는 같은 국·실에 통합되지만, 사라지거나 다른 실·국으로 통폐합되는 경우 새 청사에 입주하자마자 또 한차례 짐을 싸야 한다. 시 안에선 “순서가 뒤바뀌었다” “한달 사이 이사를 두번 한다”는 뒷말이 나온다.
서울시 총무과 실무자는 “조직개편에 따른 추가 이사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며 “새 청사 입주를 조직개편 뒤로 미루면 외부 사무실 임대비용이 일부 부서의 이사비용보다 더 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는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이사 용역에 대해선 별도의 계약을 맺은 게 없다. 입주 뒤 해당 공무원들이 직접 이사를 하거나, 업체에 맡길 경우 추가비용을 지급해야 할 여지를 남긴 셈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광화문 뒤덮은 연기 ‘MB 임기내 완공’이 불씨?
■ ‘독도수호 표지석’에 MB 이름이 왜?
■ 김문수 “나같으면 비리전력 김종인 날린다”
■ 정지영 감독 “영화가 힘들어 나가는 사람이 생길지도…”
■ 전력난 왜 해마다 반복되나?
■ 방송3사 올림픽중계 KBS 웃고, MBC 울다
■ [화보] 손연재, 마침내 눈물…“5등도 믿기지 않는다”
■ 광화문 뒤덮은 연기 ‘MB 임기내 완공’이 불씨?
■ ‘독도수호 표지석’에 MB 이름이 왜?
■ 김문수 “나같으면 비리전력 김종인 날린다”
■ 정지영 감독 “영화가 힘들어 나가는 사람이 생길지도…”
■ 전력난 왜 해마다 반복되나?
■ 방송3사 올림픽중계 KBS 웃고, MBC 울다
■ [화보] 손연재, 마침내 눈물…“5등도 믿기지 않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