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폐장 내 인수저장건물 우선사용 허가
반발 커지자 수송선박 운항 일정 못잡아
반발 커지자 수송선박 운항 일정 못잡아
경북 경주시가 현재 공사중인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안에 있는 인수저장건물에 방폐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임시사용승인을 내줘 반발을 사고 있다.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울진원전의 방폐물이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나 경주시 양북면에 건설 중인 방폐물처리장이 연약지반 문제로 준공이 30개월이나 늦어지자 방폐장 안 지상시설인 인수저장건물을 우선 운영하기로 하고 지난해 12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방폐장 건설·운영 변경허가를 받은 뒤 9일 시에서 임시사용승인을 받아냈다.
공단 쪽은 울진원전은 지난해 이미 저장용량인 1만7400드럼을 넘어섰으며, 월성원전도 올해 저장용량인 9000드럼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하지만 공단은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이 임시저장을 반대하고 나서자 아직 방폐물 수송 선박의 시험운항 등의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특히 방폐장 유치의 전제조건인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의 경주 이전이 한국전력과의 통합설이 불거지는 바람에 상황이 더욱 꼬이면서 자칫하면 방폐장 건설 반대운동으로 번질 우려마저 낳고 있다. 두 기관이 통합되면 방폐장 유치의 전제조건인 한수원 본사의 경주 이전이 물 건너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경주시의회는 16일 의원 전체 간담회 뒤 성명을 내고“통합 방침을 백지화하고 한수원 본사 경주 이전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며 “한수원 본사 이전이 축소·무산 된다면 방폐장 및 원전 건설에 시민들의 저항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시의회 원전특위 부위원장 권영길 시의원은 “인수저장시설에 24개월이나 방폐물을 보관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한수원 통합이 이뤄지면 방폐장을 반납하고 건설 반대운동을 펼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통합 논의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시가 임시사용을 승인을 내 준 것은 잘못된 행정이므로 의회 차원에서 승인을 취소하는 방안을 찾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주어선어업 비상대책위도 15일 성명을 내 “공단이 2600t급 방폐물 운송선박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운항하려고 하면서 ‘위험이 없고 피해가 발생하면 그때 보상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시는 공단이 대책을 세워 어업인들과 협의한 뒤에야 운송선이 운항하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경주 지역 10여개 단체도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저장건물은 방폐물을 분류하고 검사하는 곳으로 보관 목적의 건물이 아니다”며 시에 임시사용승인 취소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공단 쪽은 “사업 추진이 시급하지만 주민 여론이 중요한 만큼 이를 최대한 고려하면서 방폐물 수송선박 시험운항 등 앞으로의 일정을 잡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경주 지역 10여개 단체도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저장건물은 방폐물을 분류하고 검사하는 곳으로 보관 목적의 건물이 아니다”며 시에 임시사용승인 취소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공단 쪽은 “사업 추진이 시급하지만 주민 여론이 중요한 만큼 이를 최대한 고려하면서 방폐물 수송선박 시험운항 등 앞으로의 일정을 잡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