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피플]
동물권대선대응연대, 동물권 관련 18개 정책 의사 물어
식용금지, 이재명·심상정 수용…윤석열 유보적·안철수 무응답
동물권대선대응연대, 동물권 관련 18개 정책 의사 물어
식용금지, 이재명·심상정 수용…윤석열 유보적·안철수 무응답

개 식용 문제는 오는 3월 대선에서도 동물권 핵심 쟁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개 식용 금지에 대한 여야 주요 대선후보들의 생각은 어떨까. 각 캠프, 연합뉴스 제공
만능 답변 ‘사회적 합의’ 또 등장? 17개 단체로 구성된 동물권대선대응연대(이하 대응연대)는 지난달 28일 원내정당 대선후보 4명에게 ‘동물복지 5대 과제, 18개 세부과제’ 정책 제안서를 보내고 후보들에게 수용 의사를 물었다. 대응연대가 17일 공개한 정책 답변서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과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개 식용 산업의 조속한 종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사회적 합의 결과에 따르겠다’는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여러 차례의 답변 요청에도 답하지 않았다.

20대 대선 동물복지 공약 정책 제안서. 동물권대선대응연대 제공

지난 8월 동물단체 카라가 급습한 경기 여주시 불법 개도살장 현장. 당시 현장에는 개 31마리 등이 전기쇠꼬챙이를 이용한 도살 직전에 놓여있었다. 사진 동물권행동 카라 제공
18개 세부과제 수용도 높지만… 대응연대는 개 식용 문제뿐 아니라 동물복지 전반에 대한 주요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정책 제안서는 △생명존중문화 확산 △동물복지 실현을 위한 사회적 기반 마련 △책임있는 반려동물 문화 형성 △지속가능한 농장동물 정책 마련 △야생동물 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 등 5대 과제 및 18개 세부 과제로 구성, 각 세부과제에 대한 후보들의 공약으로서 수용 여부를 확인했다.

20대 대선 동물복지 공약 정책 제안서. 동물권대선대응연대 제공

‘동물의료에서의 공공성 확보’ 항목은 동물의 예방접종 및 기본 검진, 중성화와 길고양이 등 보호자가 없는 동물의 질병, 부상 등을 국가가 지원하는 정책을 제안한 것이다. 박미향 기자
“약속보다 이행이 중요” 대응연대는 “세 후보 모두 적극적인 수용의사를 밝힌 것은 고무적이나 공약은 약속보다 이행이 중요하다. 공약이 ‘공약(空約)’으로 그치지 않도록 실제 정책으로 이행되도록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응연대에는 곰보금자리프로젝트, 나비야사랑해, 다솜, 대구동물보호연대, 동물과함께행복한세상, 동물구조119, 동물권단체하이, 동물권행동카라, 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PNR, 동물보호단체행강, 동물복지문제연구소어웨어, 동물을위한행동, 동물자유연대, 생명다양성재단, 부산동물학대방지연합, 비글구조네트워크, 전국동물활동가연대 등 총 17개 단체가 참가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