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하루 4분 자고 멀쩡한 초파리 발견

등록 2019-02-21 10:52수정 2019-02-21 21:00

[애니멀피플]
암컷 일부 극단적 ‘무수면’ 특성…만성 수면 부족에도 건강·수명 단축 없어
기계학습을 이용해 정확히 측정한 노랑초파리의 수면 실험에서 일부 개체가 극단적인 무수면 상태에서도 잘 살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산자이 아차리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기계학습을 이용해 정확히 측정한 노랑초파리의 수면 실험에서 일부 개체가 극단적인 무수면 상태에서도 잘 살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산자이 아차리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곤충부터 포유류까지 잠은 모든 동물의 공통된 현상이다. 생명 유지에 핵심적인 기능을 맡기 때문에 오랜 진화과정에서 보존됐다고 할 수 있다. 만성적으로 잠을 못 자면 종종 죽음에 이른다. 그런데 ‘잠을 자지 않고도 살 수 있는 동물이 있을까’라는 질문을 정면으로 제기한 실험결과가 나왔다.

틴 가이스만 등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생물학자들은 21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실린 논문에서 “일부 초파리가 사실상 잠이 없으며, 평생 잠을 자지 못하게 한 실험에서도 건강과 수명에 악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일부 초파리에게 잠은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기능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제까지 학계에 보고된 만성적인 잠 부족 실험은 개, 쥐, 바퀴, 초파리 비둘기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이 가운데 비둘기를 빼고는 모두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들 실험이 정확성은 물론 실험방법의 신뢰도가 낮고 비윤리적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19세기에 이뤄진 개 실험은 강아지를 끝까지 자지 못하도록 괴롭히는 방식이어서 무엇 때문에 죽었는지 불확실했다. 졸면 물에 빠지도록 한 장치에서 시행한 쥐 실험도 하루 수백번 물에 빠진 쥐가 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스트레스 때문에 죽었을 수 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인도적인 이유로 이뤄진 바 없다.

노랑초파리는 염색체가 네 쌍밖에 없고 실험실에서 쉽게 기를 수 있어 생물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야생형 초파리(위 왼쪽 끝)와 다양한 돌연변이 형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노랑초파리는 염색체가 네 쌍밖에 없고 실험실에서 쉽게 기를 수 있어 생물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야생형 초파리(위 왼쪽 끝)와 다양한 돌연변이 형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초파리의 수면을 정확하기 측정하기 위해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기계학습(머신러닝)을 도입했다. 나흘 동안 야생형 노랑초파리 암컷 881마리, 수컷 485마리를 대상으로 튜브 속 움직임을 비디오로 촬영하면서, 정지했을 때도 그루밍, 먹이 먹기, 산란 등의 행동을 가려내 추적했다. 기존 실험에서는 일정 시간 정지한 초파리는 자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 결과 수컷 초파리는 하루 평균 10시간 18분을 잤지만, 암컷은 5시간밖에 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은 산란과 먹이 먹는 데 많은 시간을 들였다. 암컷 가운데 절반은 잠자는 시간이 하루의 20% 미만이었다. 암컷의 6%는 하루 평균 72분만 잤다. 극단적으로 하루 4분, 14분, 15분을 잔 암컷들도 있었다.

연구자들은 만성적인 수면 부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초파리가 평생(약 2달) 회전하는 튜브 속에서 계속 걷도록 하는 실험을 했다. 수면의 95.6%를 막는 이 장치를 통과한 초파리에서 성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건강과 수명 단축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우리 데이터로 볼 때 ‘잠 안 자고 살아가는 동물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있다”며 “야생형 초파리에게 잠은 꼭 필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논문에 적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실험실이 아니라 포식자와 경쟁자가 있는 야생이라면 수면 부족은 치명적이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면은 “생리적으로 핵심적 필요는 아니지만, 진화적으로는 그렇다”는 것이다. 또 초파리가 아주 짧은 기간의 쪽잠으로 잠의 효과를 거둘 가능성도 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Quentin Geissmann et al, Most sleep does not serve a vital function: Evidence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Science Advances, 2019;5: http://advances.sciencemag.org/content/5/2/eaau925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